제목

[선거법 핀례] 여론조사결과왜곡공표

대법원 2018. 11. 29. 선고 20178822 판결

 

공직선거법 제96조 제1항은 누구든지 선거에 관한 여론조사결과를 왜곡하여 공표 또는 보도할 수 없다.”라고 규정하고, 252조 제2항은 96조 제1항을 위반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 원 이상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여론조사의 객관성·공정성에 대한 신뢰를 이용하여 선거인의 판단에 잘못된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처벌함으로써 선거의 공정성을 보장하려는 규정이다.

왜곡의 사전적 의미는 사실과 다르게 해석하거나 그릇되게 함이고. ‘그릇되다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일이 사리에 맞지 아니하다이다. 사실에 대한 왜곡은 일부 사실을 숨기거나 허위의 사실을 덧붙이거나 과장, 윤색하거나 조작하여 전체적으로 진실이라 할 수 없는 사실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공직선거법은 허위의 사실사실의 왜곡을 선택적인 것으로 규정하기도 하고(96조 제2), 허위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왜곡을 사용하기도 한다(8조의6 4). 이와 같은 왜곡의 의미와 용법에 앞에서 본 공직선거법 제96조 제1. 252조 제2항의 입법목적을 종합하여 보면, 여론조사결과를 왜곡하는 행위에는 이미 존재하는 여론조사결과를 인위적으로 조작·변경하거나 실시 중인 여론조사에 인위적인 조작을 가하여 그릇된 여론조사결과를 만들어 내는 경우뿐만 아니라 실제 여론조사가 실시되지 않았음에도 마치 실시된 것처럼 결과를 만들어 내는 행위도 포함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타인이 위와 같이 여론조사결과를 왜곡한 것을 그러한 사정을 알면서 그대로 전달받아 공표하는 경우도 여론조사결과를 왜곡하여 공표한 경우에 해당하고, 위와 같은 인식은 미필적인 것으로도 족하다.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황정근

등록일2019-01-25

조회수1,973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