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우리는 왜 투표장에 가야 하는가

우리는 왜 투표장에 가야 하는가

- 투표장에 가지 않고서는 조그마한 변화도 가져올 수 없다.

  지난 총선 투표율을 보면 심각하다.

  20121954.2%, 20162058%밖에 안 된다. 2018년 지방선거 때도 60.2%.

  이번 선거는 코로나19로 인해 투표율이 더 낮아질 수 있다.

  나는 반대로 해외여행을 못 가니 투표율이 높아질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왜 투표장에 나가야 하는가?

  첫째로, 선거는 국민이 정치에 참여하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다. 원래 공화국이란 법과 공공선(公共善)에 기반을 두고 주권자인 시민들이 만들어낸 정치공동체이다. 시민의 정치 참여는 <공화 시민>의 주요 미덕이다. 투표는 국민의 의무이자 국민주권의 상징이다.

  둘째로, 투표에 적극 참여해야 우리는 세상을 바꿀 수 있다. 선거 한번 잘 치르면 나라가 새로워지고 지역이 바뀐다는 확신을 가져야 한다. 선거는 크든 작든 그 여정(旅程)의 끝은 바로 <대한민국의 변화>이다. 선거는 <변화에의 약속이고 그 실천>이다. 투표장에 가지 않고서는 조그마한 변화도 가져올 수 없다. 흔히 선거는 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으로 유권자의 마음을 사는 것이라고 한다. 투표에 참여해야 미래의 비전과 희망을 찾아 나설 수 있다.

  셋째, 정치엘리트를 제대로 뽑기 위해서이다. 선거에서는 <유권자의 선구안(batting eye)>이 중요하다. 후보자를 판단하는 유권자의 명품 선구안이 선거를 변화의 성전(聖戰)으로 이끌 수 있다. 선거에서 정치엘리트를 잘못 뽑으면 그것은 우리에게 바로 재앙이 된다. 선거에 참여하는 것만큼이나 후보자를 제대로 선택하는 것이야말로 선거의 핵심이다. 자질과 능력, 도덕성과 정의감을 가진 훌륭한 지도자를 선택해야 국민이 행복하고 편안하게 살 수 있는 나라와 지역을 만들 수 있다. 결국 일류국가와 일류지도자는 일류국민이 만든다. ‘제대로 된 국민제대로 된 정치엘리트를 선택해야 제대로 된 정치엘리트제대로 된 나라를 만든다. 제대로 된 선택을 게을리 하고서 나중에 후회하고 욕을 하는 것은 비겁하다.

  이번 선거에는 대한민국 국운(國運)이 걸려 있다.

  선거공보를 꼼꼼히 살피고 나서 투표장으로 반드시 가야 한다.

  투표장에 가서 악덕 전과자, 세금 체납자, 허황된 엉터리 공약을 하는 후보를 과감히 솎아내야 한다.

  설령 뽑을 사람, 뽑을 정당이 없다면 차선을 택하기 위해 반드시 투표장에 가자.

 

  적극적인 선거 참여와 명품 선구안이 세상을 바꾼다.

  투표장에 가야 하는 이유는 이제 분명해졌다.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황정근

등록일2020-04-03

조회수10,441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대법원 재판의 전문화 방안

● 대법원의 민사부와 형사부 최다은 판사는 법률신문 칼럼 <형사재판의 매력>에서, ``형사보다는 민사 법리가 좀 더 어렵고 정교하다`고 표현했다.왜 형사보다 민사 법리가 정교해졌을까?그동안 대법원이 민사 사건은 정교하게 판단하고 판례를 많이 남기면서, 형사 사건에서는 형법과 형사소송법 법리 발전에 비교적 소홀히 해오지 않았는가?대법원이 형사 사건에서 유무..

Date 2019.12.02  by 황정근

● '약난방칸ㆍ무난방칸'을 설치하시라

● '약난방칸ㆍ무난방칸'을 설치하시라 추운 겨울, 외투를 입고 완전무장한 채 지하철을 타면 난방이 너무 잘 돼 덥다.인산인해 상황에서 외투를 벗을 수도 없는 노릇이니, 차제에 약난방칸 또는 무난방칸을 설치하시라....약냉방칸은 서울지하철의 자랑 아니던가.또하나의 히트상품,약난방칸!무난방칸!

Date 2019.11.26  by 황정근

● 1997년 ‘금융개혁법안’의 무산

● 1997년 ‘금융개혁법안’의 무산1997년 김영삼정부의 ‘금융개혁법안’에 대해 야당(새정치국민회의)는 ‘표결 불참’을 선택했다.다수당 여당(신한국당)이 혼자 통과시켜보라는 것이었다. 신한국당은 단독처리를 포기했다.“왜 우리만 혼자 욕을 먹느냐?”전운이 감도는 공수처설치법과 선거법을 앞에 두고,이제 "대타협(Great Compromise)" 방안을 찾으시라

Date 2019.11.25  by 황정근

● "계도기간"

● `계도기간`근로기준법에 따라 내년부터 주52시간제가 50-299인 사업장에서 무조건 시행되고, 위반하면 사업주를 형사처벌까지 한다.그런데 그 시행은 하되 계도기간을 두어 그동안은 처벌을 유예한다고 하는데,형사처벌은 사법당국의 몫일진대 고용노동부에서 계도기간을 설정하면 형사처벌이 유예되는 근거는 무엇인가?...이것이 법치국가에서 가능한 것인가?누가 형사고발..

Date 2019.11.19  by 황정근

● 국정처리상황의 평가·분석

‘국정처리상황의 평가·분석’대한민국헌법 제89조 제12호에 나오는 표현이다.국무회의 심의사항이다.대통령 임기 절반이 지나는 올 연말에는 대통령 주재로 ‘국정처리상황 평가보고회’를 개최하시라.※ '정부업무평가기본법' 제27조(평가결과의 보고) ① 국무총리는 매년 각종 평가결과보고서를 종합하여 이를 국무회의에 보고하거나 평가보고회를 개최하여야 한다.

Date 2019.11.01  by 황정근

●왜 ‘재정경제부’가 아니라 ‘기획재정부’인가

●왜 ‘재정경제부’가 아니라 ‘기획재정부’인가   오늘 동아일보 최종찬 전 건설교통부장관의 칼럼, <저출산 컨트롤타워, 기재부가 맡아라>를 보고 나는 무릎을 쳤다.http://news.donga.com/3/all/20190611/95927370/1   나는 무릎을 탁 치게 만드는 그 무엇이 들어 있는 칼럼을 좋아한다.어떻게 나와 똑같은 생각을 이렇게 정리를 잘 했지 하는 생각 말이다.그렇다.저출산 문..

Date 2019.06.11  by 황정근

금지규정과 처벌규정을 가까이에

● 금지규정 따로, 처벌규정 따로   범죄는 형사범과 행정범으로 대별된다.행정범은 대개 금지·제한규정을 먼저 규정한 다음 나중에 처벌규정을 따로 둔다. 예컨대 이렇다. 공직선거법 제106조는 금지 규정이다.○공직선거법 제106조(호별방문의 제한) ① 누구든지 선거운동을 위하여 또는 선거기간 중 입당의 권유를 위하여 호별로 방문할 수 없다.그런데 이 금지규정 위반..

Date 2019.06.06  by 황정근

●‘공수처’와 정부조직 구성원리와의 관계

●‘공수처’와 정부조직 구성원리와의 관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를 신설하려면 몇 가지 정부조직 구성원리와의 정합성(整合性)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대통령을 정점으로 한 행정부 안에 공수처를 두려면 정부조직법 개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정부조직법 제2조 제1항은 ‘중앙행정기관의 설치와 직무범위는 법률로 정한다.’고 규정하고, 그 제2항은 ‘..

Date 2019.05.24  by 황정근

●국회의원 300명 넘어도 되는가

헌법 제41조 제2항은 ‘국회의원의 수는 법률로 정하되, 200인 이상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공직선거법 제21조 제1항은 ‘국회의 의원정수는 지역구국회의원과 비례대표국회의원을 합하여 300명으로 한다.’라고, 공직선거법 제25조 제3항은 ‘국회의원지역구의 명칭과 그 구역은 별표 1과 같이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고, [별표 1]에 의하면 지역구 253석이다.헌법이 ‘200명 ..

Date 2019.05.15  by 황정근

● 낙태죄 -‘사법에 의한 입법’(judicial legislation)

● 낙태죄-‘사법에 의한 입법’(judicial legislation)헌법재판소가 2019년 4월 11일에 낙태죄의 위헌 여부에 대해 결정을 선고한다는 소식이다.2012년에는 재판관 4 대 4로 합헌 결정을 한 바 있다. ...불과 7년 후인 이번에는 어떤 결론이 날까?낙태에 대해서는 여성의 선택권 문제로 보는 입장(pro-choice)과 태아의 생명권 문제로 보는 입장(pro-life)이 대립한다.미국 연방대법원은 1973년 ..

Date 2019.02.18  by 황정근

● 고향세 - 지방소득세 납부 지자체 선택제를 도입하자

● 고향세 ‘지방소득세 납부 지자체 선택제’를 도입하자   이른바 고향세는 수도권 주민들이 일정 금액을 농어촌 지방자치단체에 기부를 하면 소득(또는 새액) 공제를 해주는 제도다. 기부를 받은 지자체는 그 지역의 특산물로 기부자에게 답례품을 제공한다.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제도다.일본은 2008년에 이미 도입했다.그 무렵 우리나라에서도 청주 출신 홍재형 국회의..

Date 2019.02.16  by 황정근

●‘공시가격’ 기준 보유세제는 조세법률주의에 부합하는..

●‘공시가격’ 기준 보유세제는 조세법률주의에 부합하는가-이제는 ‘취득가격’ 기준으로 개정하자 토지·주택·아파트에 대한 재산세나 종합부동산세는 ‘공시가격’이 기준이다. 그러니 정부가 조세부담의 공평, 실질과세 원칙을 강조하면서 부동산 보유세를 더 징수하고 싶으면 국토교통부와 감정평가기관을 통해 매년 공시가격을 대폭 올리면 된다....이것이 과연 조세..

Date 2019.01.26  by 황정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