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대법원 2021. 4. 29. 선고 2020수6304 판결

대법원 2021. 4. 29. 선고 20206304 판결

 

2021. 4. 29.

 

 

1. 대법원판결의 요지

 

<정당에 가입할 수 없는 국가공무원이 공직사직기한 내에 사직원을 제출했으나 중징계 절차 중이어서 법률상 사직원 수리가 불가능하여 사직수리 되지 아니한 채 정당에 가입하고 공천을 받아 국회의원에 당선된 경우, 당선무효인지 여부>가 쟁점인 사건에서, 대법원(1, 주심 김선수 대법관)이 최초의 선고한 판결임

 

대법원판결은 요컨대 <소속 기관장의 사직원 수리시점이 언제인지 또는 그 사직원 수리 지연·거부에 정당한 사유가 있는지>를 따질 것 없이 오직 공무원의 사직원 접수시점만을 기준으로 후보자등록 가능 여부를 판단하자는 것임

 

2. 문언해석의 일반원칙에 반하는 판결

 

공직선거법 제53조 제4항은 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을 적용하는 경우 사직원이 접수된 때에 그 직을 그만 둔 것으로 본다고 분명하게 규정하고 있는바,

 

- 공직선거법 제53조 제4항의 문언 해석상 공직선거법 제53조 제13항 이외의 공직선거법의 다른 규정(52)이나 다른 법률(정당법)을 적용함에 있어서도 사직원 제출 시 당연히 공무원 지위를 상실한 것으로 본다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문언해석의 일반법리(대법원 2009. 4. 23. 선고 200681035 판결)에 반함

- 대법원판결은, 공직선거법 제53조 제4항에 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을 적용하는 경우라는 제한 문구가 있음을 애써 외면하였음

 

현행법 해석론으로서는 공무원이 사퇴시한 전에 사직원을 제출하였더라도 수리될 때까지는 여전히, 공직선거법 제53조 제13항 이외의 공직선거법의 다른 규정이나, 국가공무원법 및 경찰공무원법, 공무원연금법, 정당법, 국회법 등 다른 법률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당연히 공무원으로 취급하여야 함

 

3. 대법원판결의 몇 가지 문제점

 

만약 대법원판결과 같은 입장을 취하면 앞으로 아래와 같은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점이 발생함

 

(1) 공무원이 파면·면직·해임 등의 중징계절차를 회피하기 위해(국가공무원법 제78조의4에 의하면 중징계ㅔ 대상 공무원은 사직원 수리 불가능) 일단 사직원을 제출하고 공직선거에 출마함으로써 중징계 절차를 벗어나게 됨

 

- 심지어 국회의원 선거 120일 전에 미리 사직서를 제출하는 경우, 대법원판결에 따르면 앞으로 공무원은 바로 정당에 가입하고 예비후보자등록까지 하고 에비후보자로서의 선거운동을 할 수 있음

 

- 나아가 일찌감치 국회의원 선거 2-3년 전에 미리 사직서를 제출하는 경우, 대법원판결에 따르면 그 공무원은 바로 정당에 가입하고 당직을 맡을 수 있게 됨

 

(2) 탄핵의결이 된 공무원이 탄핵심판절차를 회피하기 위해 일단 사직원을 제출하고 공직선거에 출마함으로써 탄핵심판절차를 벗어나게 됨

 

- 국회에서 탄핵소추 의결서를 송달받은 고위공무원(예컨대 법관)이 사직서를 제출하더라도 국회법 제134조 제2에 의하면 사직서 수리가 법률상 불가능한바, 대법원판결에 따르면 사직서 제출시부터 정당에 가입하고 국회의원이 되어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절차를 면탈할 수 있게 됨

 

- 탄핵소추를 당한 고위공무원이 일찌감치 국회의원 선거 2-3년 전에 미리 사직서를 제출하는 경우, 대법원판결에 따르면 그 공무원은 바로 정당에 가입하고 당직을 맡을 수 있게 됨

 

(3) 사직서 수리시까지는 공무원 급여를 지급받는바, 대법원판결에 따르면 공무원 급여를 받으면서 정당의 당직을 맡거나 선거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부당한 결과가 발생함

 

(4) 일반공무원이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취임하면 공무원 신분이 이중적으로 유지되는지, 아니면 일반공무원 자격은 국회의원 당선시 또는 취임시 중 어느 시기에 자동 상실되는지, 법적 혼란이 발생함

 

(5) 일반공무원이 그 신분을 가지고 국회의원이 되면 국무총리·국무위원 외의 겸직금지 규정(국회법 제29조 제1)과 충돌하는 결과가 발생함

 

-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기 위하여 이 사건의 경우 국회의원 취임 전날에 조건부 의원면직 처분이 내려졌는데, 대법원판결에 따르면 아무런 근거도 없는 이러한 편법까지 등장하게 됨

 

(6) 대법원은 무리하게 헌법적인 판단을 하였음

 

- 만약 극단적인 사례로, 인사권자가 정치적 이유로 기타 정당한 사유 없이 의도적으로 사직원을 수리하지 않아 해당 공무원의 귀책사유 없이 사직시한을 위반하게 되는 경우와 같이 공무원이 공직선거법 제53조 제13항을 위반한 데에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공직선거법 제53조 제4항의 위헌 여부와 같은 헌법적인 문제가 있겠지만, 이 사건의 경우는 공직선거법 제53조 제13항을 위반한 데에 정당한 사유가 있다고 보기 어려운 사건임

 

- 대법원판결은 사실상 공직선거법 제53조 제4항에 대한 위헌결정을 대신한 것이나 진배없음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황정근

등록일2021-04-29

조회수11,106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공직자의 자세

정치인과 공직자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 커간다면, 이 나라는 선진일류국가․행복국가의 미래를 기약할 수 없다.건전한 국민상식으로 도저히 납득하기 어려운, 정치인과 고위공직자의 빗나간 행태에 대해 비난이 빗발치는 현재의 위기는 곧 국가의 위기가 아닐 수 없다. 근현대사에서 선진국에 진입한 비유럽 국가는 일본이 유일한데, 우리나라도 거의 유일하게 이제 선진국 문..

Date 2015.08.11  by 황정근

독일 최초의 여성 국방장관

독일 최초의 여성 국방장관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은 독일의 집권 보수우파 기민당의 차기 총리로 유력하다. 그녀는 장관 경력만으로도 충분히 총리를 맡을 만한 경험을 쌓아왔다. 2005-2009년 가족여성청년부장관, 2009-2013년 노동사회부장관, 2013부터 4년간 국방부장관을 거치고 총리가 된다면 부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것이 독일의 힘이라 믿는다.

Date 2015.08.10  by 황정근

민족통일의 당위성

1980년대에는 사법시험 2차 논술식 시험과목에 ‘국민윤리’가 들어 있었다. 법학 분야 7개 과목과 함께 1/8의 비중을 차지하여 당락을 좌우할 수 있었다. 주요 내용은 공산주의이론 비판과 남북통일 문제였다. 제법 글솜씨가 있었던 나에게는 고득점 과목이었다. 1984년 사법연수원을 다닐 때 고시잡지에 예상문제 모범답안을 게재하였는데, 그 제목이 ‘민족통일의 당위성’이었..

Date 2015.08.10  by 황정근

선결통통매조설체 - 지도자의 조건

1. 지도자의 8가지 조건은 `선결통통매조설체`입니다,   선 - 선견력   결 - 결단력   통 - 통솔력   통 - 통찰력   매 - 매력   조 - 조정력   설 - 설득력   체 - 체력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통찰력과 선견력(선견지명)이라고 생각합니다.2. 지도자는 `길을 내는 사람`입니다. 희망을 만들고 길을 닦는 것입니다. 원래 땅에는..

Date 2015.08.10  by 황정근

음주폭력을 가중 처벌하자 - 폭력대국, 음주대국

사회갈등지수라는 게 있다. 소득불균형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를 민주주의 성숙도를 나타내는 ‘민주주의지수’와 세계은행이 측정한 ‘정부효율성지수’의 산술평균치로 나누는 방법으로 신출하는 지수다. 삼성경제연구소가 하버드대학 네니 로드링 경제학 교수의 ‘갈등의 경제적 모델’에 터잡아 개발한 것이다. 대한민국은 2013년에 OECD 27개국 중 2위다. 2009년에..

Date 2015.08.10  by 황정근

천시, 지리, 인화

천시(天時) : 하늘이 주는 기회지리(地利) : 직면하고 있는 주변 환경인화(人和) : 민심(民心)의 향배. 대의(大義) = 정치적 명분 - 인격, 스토리기회(機會) = 타이밍 - 정무적 감각

Date 2015.08.10  by 황정근

사법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방법

우리나라 사법제도에 대한 국민 불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꼴찌에서 둘째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OECD가 9일 발표한 `한눈에 보는 정부 2015`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 국민 가운데 `사법제도에 대한 신뢰가 있느냐`는 질문에 `예`라고 응답한 비율은 27%에 그쳤다. OECD 34개 회원국 중 33위라고 합니다. 양삼승 변호사는, “본질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를 두려워하..

Date 2015.08.10  by 황정근

3대 시대정신

이 시대 대한민국 3대 시대정신은,첫째, 새로운 성장 모델을 찾는 것,둘째, '적정복지'를 실현하는 것,셋째, 통일준비 체제 수립 등입니다. 

Date 2015.08.10  by 황정근

대통령의 자격

어디서 본 것인데 기억이 안 납니다만, 대통령 자질의 핵심은, 첫째, 국민 통합 능력, 둘째, 국가 경영 능력. 

Date 2015.08.10  by 황정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