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전직대통령에 대한 정치보복성 형사처벌, 그 고리를 끊을 방법은 없는가

전직대통령에 대한 정치보복성 형사처벌-그 고리를 끊을 방법은 없는가


 미국 역사에서는 전직대통령을 형사처벌한 사례가 없다. 오히려 문제가 많은 대통령도 가급적 그 장점을 부각하여 위인으로 만들어 후세를 가르쳤다. 중국에서도 정적을 형사처벌한 사례가 몇몇 있지만 원칙적으로 중공최고지도부 상무위원급 이상은 처벌하지 않는 것이 불문율이다. 국격의 문제이기도 하거니와 결국은 그 집권의 정통성 문제 때문이라 생각한다

  미국에서 탄핵과 형사처벌을 눈앞에 두고 사임한 리처드 닉슨 대통령도, 기소되기도 전에 후임 제럴드 포드 대통령이 승계취임 후 한 달 만에 바로 사면해버렸다. 당대에는 그로 인해 포드는 재선에 실패했지만 후대 역사에서는 포드 대통령의 사면은 용기 있게 잘 내린 결정으로 평가받는다

  우리나라는 유죄 확정판결 후에야 사면을 할 수 있기 때문에(사면법 제3), 수사와 사법절차의 길고긴 과정에서 이미 전직대통령은 만신창이가 되고, 형사처벌인지 정치보복인지를 둘러싸고 극심한 국론분열에 휩싸이게 마련이다. 이러한 고리를 이제야말로 끊어내는 방법은 없을까

  미국에서는 유죄 확정판결 없이도, 기소 전이라도 대통령이 사면을 할 수 있다. 당시 전임 닉슨 대통령 사면을 할 때 포드 대통령의 고민은 형사소추 내지 유죄 확정판결 전에 대통령이 과연 사면을 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었다. 백악관 법률고문은 연방대법원이 1915미합중국 대 버딕 사건에서 이를 긍정한 선례를 찾아냈다. 우드로 윌슨 대통령이 취재원 공개를 거부한 뉴욕 트리뷴의 조지 버딕 편집장의 공무집행방해죄에 대해 사면권을 행사한 사건이다

  대한민국헌법에서도 수사 전 사면을 금지하고 있지는 않다(79). 다만 사면법에서 판결확정 전의 특별사면을 불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3). 이번 기회에 수사나 기소 전에도 대통령이 특별사면을 할 수 있도록 사면법을 개정하면 어떨까? 여ㆍ야 대통령후보가 사면법 개정을 내세우고 당선되면 전직대통령에 대해 수사 전 사면권을 행사해버리겠다고 선언하는 것이야말로 전직대통령에 대한 정치보복성 형사처벌의 고리를 끊어내는 길이다. 이것이 통합과 용서의 정치이다. 특히 야당 대통령 후보부터 이를 공개 선언하는 것이야말로 용서와 화해의 정치로 가는 첩경이 아닐까. 만약 헌법 제90조에 따라 <국가원로자문회의>를 구성하는 경우 직전대통령이 정권교체에도 불구하고 당연직 의장이 되어야 하는데, 직전대통령을 형사처벌하고서 어떻게 국가원로자문회의 의장을 맡기겠는가

  나는 이제는 전직대통령이 감옥에 가는 모습을 더 이상 보고 싶지 않다

  또 하나의 소원이 있다. 조선 때 사람이 아닌, 대한민국 전직대통령의 초상화가 당당히 그려진 대한민국 지폐를 보고 싶다.


대한민국헌법 제79대통령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사면ㆍ감형 또는 복권을 명할 수 있다.

일반사면을 명하려면 국회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사면ㆍ감형 및 복권에 관한 사항은 법률로 정한다.

사면법 제3(사면 등의 대상) 사면, 감형 및 복권의 대상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일반사면 : 죄를 범한 자

2. 특별사면 및 감형 : 형을 선고받은 자

3. 복권 : 형의 선고로 인하여 법령에 따른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황정근

등록일2022-02-22

조회수8,679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국정정서와 동떨어진 언행

‘설치는 암컷’ 발언은 명백하게 ‘당의 명예를 실추시키거나 국민정서와 동떨어진 언행’으로서 책임 있는 공당(公黨)이라면 응당 징계절차를 밟아야 마땅하다. 신성로마제국은 신성하지도 않고 로마도 아니며 제국도 아니라는 말이 있다. 더불어?민주?당? 맞는가. 정당의 당원은 모름지기, ▲소속 정당의 정강과 기본정책 및 당명·당론에 명백하게 어긋나는 언행, ▲타..

Date 2023.11.21  by 황정근

병립형과 연동형 비례대표제- 병립형으로 돌아가면 간단하..

● 병립형과 연동형- 병립형으로 돌아가면 간단하다-만약 연동형을 유지한다면, 위성정당 금지만으로는 부족하고, 지역구 당선자 없는 정당에는 비례대표 배분을 금지해야 한다 현행 공직선거법은 유권자가 지역구 후보자에게 1표, 비례대표후보를 낸 정당에 1표를 각각 투표한다. 연동형은 현행 공직선거법 제189조(지난 2020년 4·15 총선 때는 부칙 제4조에 따라 30석..

Date 2023.11.30  by 황정근

비례 전용 떴다방 정당 난립을 막는 방안

● 떴다방 정당 난립을 막는 방안- ‘지역구 1석 and 비례 3% 이상 정당’에만 비례 할당  2020년 총선 때 비례대표 후보를 낸 정당이 무려 35개였다. 그 때의 길게 늘어진 투표용지를 기억하는가? 이번에는 더 심해질 것이다. 왜? 현행 공직선거법 제189조 제1항에서 비례대표 의석할당정당으로 ‘3% 이상 득표 정당’(제1호) or ‘지역구 5석 이상 정당’(제2호)을 규정하고 ..

Date 2023.11.30  by 황정근

병역명문가 제도 개선방안 - 형제별로 따로

  사무실 최변호사가 병역명문가증을 받았다고 자랑을 한다. 그의 할아버지와 외아들인 그의 아버지 및 외아들인 최변호사 3인이 병역을 필했다. PX, 군골프장 등에서 몇 가지 혜택이 있다고 한다. 나는 나의 아버지, 나, 나의 아들까지 3인이 병역을 마쳤는데, 병역명문가증을 못 받는다. 내 남동생과 그 아들(조카) 및 내 막내동생도 병역을 필했고, 현재 아버지부터 3대 총 6명..

Date 2023.12.09  by 황정근

배임죄를 목적범으로 개정하자

배임죄를 목적범으로 개정하자경제관료 출신인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쓴 책 『대한민국 금기 깨기』(쌤앤파커스, 2021)를 읽다보니, 법률가인 필자도 공감이 가는 대목이 하나 있어 먼저 소개한다.“기업가를 위축시키는 과잉처벌 조항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배임죄는 구성요건이 지나치게 모호하고 적용범위가 너무 넓어 새로운 시각과 법률상의 정리..

Date 2024.01.02  by 황정근

신정과 구정의 통합

● 설날 ㅡ 신정과 구정의 통합이제는 음력설날 3일 연휴를 양력설날로 통합하여 연말연시 4일 연휴로 변경하면 어떨까?12.30.부터 1.2.까지 내리 쉬고 음력설날은 이제 없애자는 것이다.

Date 2024.01.04  by 황정근

●부가가치세율 차등화 방안-5%ㆍ10%ㆍ15%

  국민의힘의 ‘생필품 부가가치세율 한시 인하’ 공약이 세수결손 문제로 역공을 받고 있다. ‘고가사치품 VAT 인상’ 방안을 병행하면 오히려 세수가 증대된다. ●민생경제 지원을 위한 부가가치세 세율 차등화 방안(2023년 10월 18일 페북)   부가가치세 세율은 현재 일률적으로 10%다(부가가치세법 제30조). 수기(手記) 영수증 시대에는 그렇게밖에 할 수 없었을 것이다..

Date 2024.04.05  by 황정근

대통령의 무력감-대통령은 설득하는 자리

●대통령의 무력감-대통령은 설득하는 자리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의료개혁 관련 담화문 발표를 보며 대통령이란 자리가 뭔가 맘대로 되는 것도 없기에 일종의 무력감을 느끼고 있으리라 생각한다.   해리 트루만 대통령이 후임자 드와이트 아이젠하워의 대선 승리에 대해 이렇게 코맨트 했다.   “(상명하복의 군인 출신인) 그는 바로 여기에 앉아 이것을 하..

Date 2024.04.05  by 황정근

내각 총사퇴의 법리

● 내각 총사퇴의 법리 - 내각 총사퇴 없는 총리 교체가 가능한가대한민국헌법은 대통령제임에도 국회동의를 받아 임명하는 국무총리를 둠으로써 내각제적 요소를 가미하였다. 그렇게 임명된 총리에게는 국무위원(장관) 임명제청권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예컨대 사퇴하여 곧 물러날 한덕수 총리가 함께 일할 것도 아닌 신임 장관을 임명제청하는 것은 국정을 편법으로 운영..

Date 2024.04.13  by 황정근

동행정부論-국정쇄신의 지향점

● 동행정부論-국정쇄신의 지향점 이제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첫째, 국가목표를 분명하게 다시 제시해야 한다.  누가 집권하든 대한민국의 국가목표는 ‘다 함께 잘 사는 선진일류국가’이다. 이걸 쉽게 표현하면 ‘세계 속의 으뜸국가’다.  둘째, 국정목표를 제대로 상징하는 정부 명칭을 지어야 한다.&..

Date 2024.05.01  by 황정근

분점정부에서 여야 협치의 비책ㅡ헌법 제90조의 국가원로자..

● 분점정부에서 여야 협치의 비책 ㅡ 헌법 제90조의 국가원로자문회의를 설치하자https://www.munhwa.com/news/view.html...여소야대 분점정부(Divided Government)에서 정치적 교착상태(political cul de sac)를 타개하여 협치를 하는 비책으로 국가원로자문회의(=국자. 國諮)의 신설을 제안한다.이걸 설치하면 야당 출신 직전 대통령이 의장을 하게 되기 때문에 협치가 시작되는 것이다.헌법 제90조 ..

Date 2024.05.10  by 황정근

헌법 제65조 제3항의 문제점

  헌법 제65조 제3항은 “탄핵소추의 의결을 받은 자는 탄핵심판이 있을 때까지 그 권한행사가 정지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1960년 헌법 때부터 있던 규정을 별 생각 없이 그대로 두었다.   국회법 제134조 제2항은 “소추의결서가 송달되었을 때에는 소추된 사람의 권한행사는 정지되며, 임명권자는 소추된 사람의 사직원을 접수하거나 소추된 사람을 해임할 수 없다...

Date 2024.07.10  by 황정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