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최고행복책임자

CEO, CFO, CTO는 이제 일상화된 용어가 되었는데, 아직 CHO ‘최고행복책임자’(Chief Happiness Officer)라는 말은 어색하다. 아이스크림 회사 벤앤제리스의 CEO 월트 프리즈는 스스로를 최고행복책임자’(Chief Euphoria Officer)’라고 부른다고 한다. 구성원과 고객의 행복을 내가 책임지겠다는 것이니, 이 얼마나 감동적인 자부심인가? 이 말이 단순한 형용수사가 아니라면 말이다.

행복이란 참 주관적이며 상대적이어서 모호하다. 사랑이란 말처럼 거대한 추상성의 덩어리다. 실로 행복은 지극히 주관적인 체험과 잣대 위에 놓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람들이 추구하고 동의하는 행복감(euphoria)은 분명한 느낌으로 존재하는 것만은 사실이다. 회사 안에 탁아소를 대폭 확충하는 회사, 육아휴가를 넉넉히 주는 회사, 퇴직한 임직원에게까지도 그 비싼 대학등록금을 지원해주는 회사, 또는 중소기업의 영역을 넘보지 않고 오히려 상생에 앞장서는 대기업을 이끄는 CEO는 분명 최고행복책임자일 것이다. 최고의 품질로 최고의 명품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행복을 책임지겠다는 변호사도 마찬가지다.

이제 우리는 집단적 이념의 시대를 통과했다. 기호와 취향의 시대가 되었다. 기업이든 정부든 어느 조직이나 최고책임자가 구성원의 창의력과 자율을 무시하고 무거운 짐만 지워서는 행복을 책임질 수 없을 것이다. 행복을 책임지기 위해서는 배려와 존중과 품격의 리더십을 갖추어야 한다. 성장과 발전, 활력과 역동성도 좋지만, 이제는 거기에 행복의 가치를 버무릴 때가 되었다.

행복은 영원히 오지 않을 미래에 대한 환영일지도 모른다. 희망이란 마약처럼 말이다. 그래서 행복이란 명제가 허위의 지배논리가 되기도 한다는 비판을 받는 일이 있더라도, 이 땅에 최고행복책임자를 표방하는 분들이 더욱 많아졌으면 한다. 이 시대에는 국정 최고책임자도 교육, 일자리, 주택, 건강, 노령화 문제에 대해 국민들에게 최고행복을 가져다주기 위해 노심초사하는 최고행복책임자여야 한다. 이제 누구에게나 행복한 세상, 행복한 나라, 서민행복, 행복국가, 이런 것을 놓고 치열하게 고민하는 것이야말로 시대정신이 되었다.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황정근

등록일2015-09-01

조회수9,834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황정근

| 2015-10-06

추천하기0반대하기0댓글등록

유엔 산하 ‘지속 가능한 발전 해법 네트워크’(SDSN)가 발표한 ‘2015 세계 행복 보고서’를 보면, 한국인의 행복 순위는 158개 조사 대상국 중 47위다.
스위스, 아이슬란드, 덴마크, 노르웨이, 캐나다, 핀란드, 네덜란드, 스웨덴, 뉴질랜드, 호주가 상위 10위권 국가다.
미국(15위), 영국(21위), 독일(26위), 프랑스(29위) 등 선진국들이 그 뒤를 따랐고, 일본은 우리보다 한 단계 높은 46위다.

스팸방지코드 :

공직자의 자세

정치인과 공직자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 커간다면, 이 나라는 선진일류국가․행복국가의 미래를 기약할 수 없다.건전한 국민상식으로 도저히 납득하기 어려운, 정치인과 고위공직자의 빗나간 행태에 대해 비난이 빗발치는 현재의 위기는 곧 국가의 위기가 아닐 수 없다. 근현대사에서 선진국에 진입한 비유럽 국가는 일본이 유일한데, 우리나라도 거의 유일하게 이제 선진국 문..

Date 2015.08.11  by 황정근

독일 최초의 여성 국방장관

독일 최초의 여성 국방장관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은 독일의 집권 보수우파 기민당의 차기 총리로 유력하다. 그녀는 장관 경력만으로도 충분히 총리를 맡을 만한 경험을 쌓아왔다. 2005-2009년 가족여성청년부장관, 2009-2013년 노동사회부장관, 2013부터 4년간 국방부장관을 거치고 총리가 된다면 부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것이 독일의 힘이라 믿는다.

Date 2015.08.10  by 황정근

민족통일의 당위성

1980년대에는 사법시험 2차 논술식 시험과목에 ‘국민윤리’가 들어 있었다. 법학 분야 7개 과목과 함께 1/8의 비중을 차지하여 당락을 좌우할 수 있었다. 주요 내용은 공산주의이론 비판과 남북통일 문제였다. 제법 글솜씨가 있었던 나에게는 고득점 과목이었다. 1984년 사법연수원을 다닐 때 고시잡지에 예상문제 모범답안을 게재하였는데, 그 제목이 ‘민족통일의 당위성’이었..

Date 2015.08.10  by 황정근

선결통통매조설체 - 지도자의 조건

1. 지도자의 8가지 조건은 `선결통통매조설체`입니다,   선 - 선견력   결 - 결단력   통 - 통솔력   통 - 통찰력   매 - 매력   조 - 조정력   설 - 설득력   체 - 체력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통찰력과 선견력(선견지명)이라고 생각합니다.2. 지도자는 `길을 내는 사람`입니다. 희망을 만들고 길을 닦는 것입니다. 원래 땅에는..

Date 2015.08.10  by 황정근

음주폭력을 가중 처벌하자 - 폭력대국, 음주대국

사회갈등지수라는 게 있다. 소득불균형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를 민주주의 성숙도를 나타내는 ‘민주주의지수’와 세계은행이 측정한 ‘정부효율성지수’의 산술평균치로 나누는 방법으로 신출하는 지수다. 삼성경제연구소가 하버드대학 네니 로드링 경제학 교수의 ‘갈등의 경제적 모델’에 터잡아 개발한 것이다. 대한민국은 2013년에 OECD 27개국 중 2위다. 2009년에..

Date 2015.08.10  by 황정근

천시, 지리, 인화

천시(天時) : 하늘이 주는 기회지리(地利) : 직면하고 있는 주변 환경인화(人和) : 민심(民心)의 향배. 대의(大義) = 정치적 명분 - 인격, 스토리기회(機會) = 타이밍 - 정무적 감각

Date 2015.08.10  by 황정근

사법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방법

우리나라 사법제도에 대한 국민 불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꼴찌에서 둘째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OECD가 9일 발표한 `한눈에 보는 정부 2015`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 국민 가운데 `사법제도에 대한 신뢰가 있느냐`는 질문에 `예`라고 응답한 비율은 27%에 그쳤다. OECD 34개 회원국 중 33위라고 합니다. 양삼승 변호사는, “본질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를 두려워하..

Date 2015.08.10  by 황정근

대통령의 자격

어디서 본 것인데 기억이 안 납니다만, 대통령 자질의 핵심은, 첫째, 국민 통합 능력, 둘째, 국가 경영 능력. 

Date 2015.08.10  by 황정근

3대 시대정신

이 시대 대한민국 3대 시대정신은,첫째, 새로운 성장 모델을 찾는 것,둘째, '적정복지'를 실현하는 것,셋째, 통일준비 체제 수립 등입니다. 

Date 2015.08.10  by 황정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