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법률가가 바라본 ‘비핵화 조건’의 해석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방북특사단에게 말하기를,
“북한에 대한 군사적 위협이 해소되고 북한의 체제 안전이 보장된다면 핵을 보유할 이유가 없다.”
법률가로서 나의 관심은, ‘북한에 대한 군사적 위협 해소’와 ‘북한의 체제 안전 보장’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법률용어 해석에 관한 대법원판례는 이렇다.
“법령 자체에 그 법령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定義)나 포섭의 구체적인 범위가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그 용어가 사용된 법령 조항의 해석은 그 법령의 전반적인 체계와 취지․목적, 당해 조항의 규정 형식과 내용 및 관련 법령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석하여야 한다(대법원 2013. 12. 12. 선고 2011도9538 판결).”
그런데 내가 보기에 ‘북한에 대한 군사적 위협이 해소되고 북한의 체제 안전이 보장된다면’이라는 조건은 해석상 너무나 애매모호하다.
우리 법률가들이 흔히 말하는, ‘용어의 정의나 포섭의 구체적인 범위가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의 전형적인 예이다.
내가 아는 상식선에서 해석한다면, ‘북한에 대한 군사적 위협’은 주한미군 주둔, 한미연합사, 한미연합 군사훈련, 미국의 확장억제·핵우산, 미국의 전략자산 수시 전개, 대한민국의 첨단 재래식 무기 등을, ‘북한 체제 안전 보장’은 대북 제재 해제, 북미 수교, 정전협정의 평화협정으로의 이행, 미국의 대북 적대시 정책 폐기 및 무력 불사용 공약, 북한 인권 문제 제기 중단, 경제적 보상 및 지원 등을 의미한다고 해석된다.
가장 큰 문제는 비핵화 조건의 충족 여부는 도대체 누가 판단하는가 하는 점이다.
이제 해답은 나왔다.
따라서 4월 말 남북‘영수(領袖)’회담(북한에서는 ‘북남수뇌회담’이라고 한다. 나는 우리나라 헌법정신에 비추어볼 때 ‘남북정상회담’이라고 부르기보다는 ‘남북영수회담’이라고 부르는 것이 적확하다고 생각한다)에서는,
첫째, 애매모호한 비핵화 조건의 ‘정의와 포섭의 구체적인 범위’를 구체적으로 확정하고,
둘째, 그 중 무엇무엇이 비핵화의 선이행 사항이고, 무엇무엇이 단계별 이행 사항이며, 무엇무엇이 동시이행 사항인지를 분명하게 확정한 다음, 계약금, 중도금, 잔금 식으로 그 구체적인 일정에 합의해야 한다.
셋째, 우리는 이렇게 역제의해야 한다.
“북한이 핵을 보유하지 않는다면, 북한에 대한 군사적 위협을 해소하고 북한의 체제 안전을 보장해주겠다.”
북한이 이런 역제안을 받아들일 때만이 진정성 있는 비핵화 의지로 받아들일 수 있다.

(2018년 3월 8일)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황정근

등록일2018-03-08

조회수7,934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 군사안보지원사령부(국군기무사)에 검사를 파견?

● 군사안보지원사령부(국군기무사)에 검사를 파견?- 변호사 중에서 뽑아 쓰면 된다.국군기무사령부를 군사안보지원사령부로 ‘해편’(解編?)하는데, 검사 3명을 준비기획단 법무팀에 파견하고,...부대 창설 후에는 감찰실장 등을 맡긴다고 한다.결론부터 말하자면, 나는 반대한다.필요하면 변호사 중에서 뽑아 쓰면 된다.법률가가 부족하던 시절에는 검사는 행정부 내에서 ‘..

Date 2018.08.14  by 황정근

● 조서에서 "~는가요." 식의 질문은 권위적이다.

● 조서에서 "~는가요." 식의 질문은 권위적이다.ㅡ"~습니까?"로 고치자 ... 문 : 피의자는 ~이런 사실을 정말 몰랐는가요.답 : 예, 저는 전혀 몰랐습니다.왜 묻는 사람(경찰관. 검사, 판사, 변호사)은 약간 하대하고,피의자나 피고인은 왜 극존칭의 공손체로 대답해야 하나?나는 이렇게 생각한다.질문도 "~몰랐습니까?"로 고쳐야 한다.

Date 2018.08.14  by 황정근

●경제 컨트롤타워, 김앤장이냐 장앤김이냐

●경제 컨트롤타워, 김앤장이냐 장앤김이냐 ㅡ김앤파트너즈가 답이다 두 명이 50%씩 투자하여 주식회사를 차렸다고 치자. 회사경영의 목표와 이상을 공유하면서 함께 사다리를 올라갈 때는 동업체가 잘 굴러간다. ...그러나 사이가 틀어지면 회사가 마비된다. 이것이 바로 정돈(停頓) 상태다. 목표를 망각하고 한쪽이 몽니를 부리거나 딴죽걸기에 나서면 정돈상태에 빠지고 만다...

Date 2018.08.14  by 황정근

●시대의 해법을 놓고 고민하는 황정근의 상상력

제가 평소 생각해왔던, ‘내가 꿈꾸는 대한민국’에 대한 몇 가지 아이디어(황정근의 상상력)를 가·나·다 순으로 제목만 나열해 놓았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생각이 떠오를 때마다 수시로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우리나라 어느 누구나 이 아이디어를 모방해가도 좋습니다.구체적인 내용은 저에게 직접 문의하면 알려 드립니다.   감동의 정치, 활기찬 경제, 편안한 사..

Date 2018.08.08  by 황정근

●선거공보의 재산란에 연대보증채무를 기재해야 하나?

●선거공보의 재산란에 연대보증채무를 기재해야 하나?- 대법원 2018. 7. 26. 선고 2015도1379 판결   2014년 지방선거 도의원 후보자가 책자형 선거공보 2면 ‘2 재산 상황 및 병역사항’란의 후보자 재산상황에 연대보증채무 254,639,654원 등의 채무를 누락하였다고 하여 공직선거법 제250조 제1항의 허위사실공표죄로 기소되었다. 제1심 및 항소심 모두 유죄(벌금 120만원).   항..

Date 2018.08.08  by 황정근

●고 유성환 국회의원이 남긴 면책특권 판례

●고 유성환 국회의원이 남긴 면책특권 판례 지난 24일 타계한 고 유성환 12대 국회의원은 1986. 7.경 정기국회 본회의 정치분야 대정부질문자로 내정되자, 우리나라의 통일정책과 관련하여, “이 나라 국시는 반공이 아니라 통일이어야 한다.” “오늘날 강대국들의 한반도 현상고착정책에 많은 사람들이 우려를 하고 있다.” “분단국에 있어서의 통일 또는 민족이라는 용어는 ..

Date 2018.07.25  by 황정근

●정치자금에 대해 좀 더 솔직해지자

●정치자금에 대해 좀 더 솔직해지자   정치자금은 대의민주주의 정치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비용으로서 현대 민주정치에서 필수불가결한 비용이다. 누군가가 부담하여야 한다.현행 정치자금법은 기부 방법과 절차 및 한도를 철저히 통제하는 이른바 통제형을 채택하였다. 선거가 없는 해에 국회의원 후원회는 1인당 500만원, 합계 1억 5천만원 한도 내에서만 후원금을 받을 ..

Date 2018.07.24  by 황정근

3,000만원이 ‘소액’인가?

● 3,000만원이 ‘소액’인가?   순천 출신 박보영 전 대법관님이 낙향하여 3,000만원 이하의 ‘소액’사건을 다루는 여수시법원 판사가 되기를 자청하였다. 이 소식은 국민들에게 신선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청년 법조인의 일자리 하나가 없어졌다는 견제도 있지만, 국민여론은 우호적이다.   1973년 시행된 「소액사건심판법」은 90% 이상의 민사소송을 간이하게 처리..

Date 2018.07.19  by 황정근

● [선거법] 제21대 총선 선거구 획정 일정

● [선거법] 제21대 총선 선거구 획정 일정   ※ 제21대 국회의원 총선일 : 2020년 4월 15일(수).   2018년 10월 5일 : 국회→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구획정위원 통보2018년 10월 15일 :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설치 2019년 1월 31일 : 선거구획정 주민등록인구 기준일 2019년 3월 15일 : 선거구획정위→국회의장, 선거구획정안 제출 2019년 4월 15일 : 국회의 선거구 확정 = 선..

Date 2018.07.06  by 황정근

"다른정치연합"(다정련)

신보수통합정당의 명칭은 "다른정치연합(약칭 다정련)으로 하면 어떨까?다른 정치 = another politics '다른정치'가 '새정치'보다 낫다. 뭔가 달라져야 한다.새-달-밝-깨.

Date 2018.07.06  by 황정근

기획재정부의 국가발전전략 기획 기능

<기획재정부의 국가전략 기획 기능>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70285511 언론 보도에 의하면 기획재정부가 현행 영문 명칭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에서 외국인에게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Strategy’를 뺄 예정이라고 한다. ‘Strategy’ 때문에 외국인에게 ‘국가전략 수립 부서’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킨다고 지적받아왔다고 한다. 보도가 맞다면 기재부 스스로..

Date 2018.07.03  by 황정근

심리불속행 판결의 ‘이유’ 기재 : 개선 방안

●심리불속행 판결의 ‘이유’ 기재 : 개선 방안  민사 판결문은 ‘주문’(主文)과 ‘이유’로 구성된다. 판결문의 이유에는 주문이 정당하다는 것을 인정할 수 있을 정도로 당사자의 주장, 그 밖의 공격·방어방법에 관한 판단을 표시해야 한다(민사소송법 제208조 제2항).여기에 예외가 몇 개 있다. ...대표적인 것이 소액사건 판결, 대법원의 심리불속행(심불) 상고기각 판결 ..

Date 2018.05.11  by 황정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