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공시가격’ 기준 보유세제는 조세법률주의에 부합하는가

●‘공시가격’ 기준 보유세제는 조세법률주의에 부합하는가
-이제는 ‘취득가격’ 기준으로 개정하자


토지·주택·아파트에 대한 재산세나 종합부동산세는 ‘공시가격’이 기준이다.
그러니 정부가 조세부담의 공평, 실질과세 원칙을 강조하면서 부동산 보유세를 더 징수하고 싶으면 국토교통부와 감정평가기관을 통해 매년 공시가격을 대폭 올리면 된다....

이것이 과연 조세법률주의에 부합할까?

A는 돈 잘 벌던 젊었을 때 아파트 한 채를 사서 수십 년 거주하고 있는 노년 은퇴자.
A는 해마다 인상되는 공시가격 때문에 이제는 변변한 소득이 없음에도 세금폭탄을 감당하기 어려운 지경에 처했다.
A는 아파트 공시가격을 올려달라고 요구한 적이 없다.
A는 공시가격이 인상되는 걸 원치도 않는다.
그렇다고 A가 매년 공시가격 취소 행정소송을 제기하는 것도 부담스럽다.

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납세의 의무를 진다(헌법 38조).
조세의 종목과 세율은 법률로 정한다(헌법 59조).
이렇게 헌법에 규정된 조세법률주의는 죄형법정주의와 쌍둥이다.
조세법률주의 하에서는 세법을 집행할 때는 엄격하게 해석·적용하여야 하며, 행정편의주의적인 확장해석이나 유추적용은 허용되지 않는다(98두11731 전원합의체 판결).
이른바 엄격해석의 원칙(Lex stricta)이다.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조세법률주의 하에서는 세제를 입법할 때도 엄격하게 하여야 하며, 행정편의주의적인 적용이 가능하도록 입법을 해서는 안 된다.
‘엄격입법의 원칙’이 확립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지방세법·종합부동산세법이 재산세·종합부동산세를 정부가 정하는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한 것이 근본적인 문제다.
이러한 법률은 “의심스러울 때는 국고의 이익으로(in dubio pro fisco)” 과세하도록 문을 열어둔 국고주의적 입법이다.

반대로 “의심스러울 때는 국고의 이익에 반하여(in dubio contra fiscum)” 과세하도록 국민의 입장에서 세법이 보다 촘촘해져야 한다.

나는 재산세나 종합부동산세는 ‘공시가격’이 아니라
이제는 ‘취득가격+α(도매물가상승률)’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세율은 물론 조정해야 한다.

국민은 부동산을 취득할 때 ‘취득 당시의 가액’을 기준으로 취득세를 냈고,
그 취득가격은 이제는 부동산등기부에 정확하게 등기하게 되어 있다(부동산등기법 68조).
개인별로 대부분 부동산 취득가격이 등기되어 있으므로 정부가 함부로 수정할 수 없는 취득가격을 기준으로 보유세를 과세하면 어떨까?

이렇게 하면 보유세가 개인별로 차이가 날 수 있지만,
이것이 국민 개개인의 정서에 맞고 보유세액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높여준다.
양도차익을 내고 팔면 어차피 양도가격을 기준으로 양도소득세를 징수하면 된다.

“진실의 열매가 저 너머에 보이더라도 개인의 기본권 보장이라는 담장을 짓밟고 넘어가야만 따올 수 있는 것이라면 차라리 그 열매를 포기하려는 것이 적법절차주의의 기본정신이고 이것은 조세법률주의의 기본정신과도 상통하는 것이다.”(이회창 대법관)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황정근

등록일2019-01-26

조회수10,762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경장은 어렵다

창업도 수성도 다 어렵지만 更長이 더 어렵다. 경장은 요즘 말로 하면 개혁ㆍ혁신이 아닐까.

Date 2021.05.06  by 황정근

● 후배나 동료를 배석(동석)시키기

● 후배나 동료를 배석(동석)시키기결재권자 방 앞에는 결재 순서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늘 붐빈다. 별것 아닌 걸 가지고 눈도장 찍으러 결재권자에게 가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순서를 기다리면서 밖에서 무작정 대기하는 것이다. 최근 취임한 한국생산성본부 안완기 회장은 집무실에서 소파와 책상을 없애고 여럿이 둘러 않는 탁자에서 일하면서 결재를 할 때 결재 순서를 기다..

Date 2021.05.06  by 황정근

문제해결의 리더십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싫든 좋든 정치는 가장 강력하고 궁극적인 문제 해결의 수단이다. 따라서 정치는 바른 사람이나 착한 사람이 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이 해야 하는 것이다.이 시대 문제를 해결할 줄 아는 사람 말이다.그래서 지도자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문제의 해결사>이자 <미래의 설계사>이다.

Date 2021.05.06  by 황정근

대법원 2021. 4. 29. 선고 2020수6304 판결

대법원 2021. 4. 29. 선고 2020수6304 판결   2021. 4. 29.     1. 대법원판결의 요지   ○ <정당에 가입할 수 없는 국가공무원이 공직사직기한 내에 사직원을 제출했으나 중징계 절차 중이어서 법률상 사직원 수리가 불가능하여 사직수리 되지 아니한 채 정당에 가입하고 공천을 받아 국회의원에 당선된 경우, 당선무효인지 여부>가 쟁점인 사건에서, 대법원(제1부,..

Date 2021.04.29  by 황정근

● 대법원이 재검표를 최대한 신속하게 하는 방안

● 대법원이 재검표를 최대한 신속하게 하는 방안 - 전국 법원에 촉탁하여 일시에 재검표 검증을 하시라     국회의원 선거의 당선무효소송은 대법원 단심이고, 대법관 4인으로 구성된 소부(小部)에서 담당한다. 재판부가 변론기일을 열고, 재검표 검증 신청을 받아 검증기일을 별도로 정하여, 투표함이 보전되어 있는 전국의 법원을 직접 가서 하는 게 원칙이다.  ..

Date 2020.05.13  by 황정근

●깜짝 놀랄 만한 대담한 인물

●<깜짝 놀랄 만한 대담한 인물>야당이 새 지도자를 발굴하여 2년 후 대선에 내보내는 일은 현재로서는 사실 어렵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이다. 4연패 이후 대선후보가 이번처럼 중요해진 적은 없다. 어려운 상황에서 실기(失機)하지 않고, 국민이 정말 감동적이라고 박수를 칠 만한 그런 인물, <깜짝 놀랄 만한 대담한 인물>을 발굴해 내야 한다. .....

Date 2020.05.06  by 황정근

● 부산광역시장을 1년이나 공석으로 두어서야

● 부산광역시장을 1년이나 공석으로 두어서야    -올 10월 보궐선거 추진 방안   대통령 궐위로 인한 선거ㆍ재선거는 그 사유 확정시부터 60일 이내에 실시하여야 한다(공직선거법 제35조 제1항). 국회의원ㆍ지방의회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장의 보궐선거ㆍ재선거는 4월 중 첫 번째 수요일에 실시한다(같은조 제2항 제1호). 그러니 2020년 4월 23일 사임하여 공석인 ..

Date 2020.04.24  by 황정근

● 장관 인사청문회를 폐지하시라

● <장관 인사청문회>를 폐지하시라- 국회의 임명 동의가 필요한 공직자에 국한해야180석 슈퍼여당이 대한민국 미래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내가 지난번에는 <노동개혁>을 최우선으로 들었고, 그 다음은 <인사청문회 제도의 근본적인 개선>을 들고 싶다....현재와 같은 방식의 인사청문회가 지속가능한가.인사청문회가 두려워서 인사를 제때제때 하지 못하..

Date 2020.04.20  by 황정근

● 다른 정치

● <다른 정치>총선 성적표를 받아들고 나도 한 마디 하지 않을 수 없다.국민들에게 <감동>을 주지 못하면 지는 것이다.천시(=하늘이 주는 기회)와 지리(=직면하고 있는 주변 환경)와 인화(=민심의 향배)가 맞지 않으면 지는 것이다.국민들이 이번에 야당에 대해 옐로카드성 표로써 던진 명령의 핵심은 무엇인가.나는 <변화>라고 읽는다.나는 이렇게 생각한다.이제 미..

Date 2020.04.16  by 황정근

● 우리는 왜 투표장에 가야 하는가

● 우리는 왜 투표장에 가야 하는가- 투표장에 가지 않고서는 조그마한 변화도 가져올 수 없다.  지난 총선 투표율을 보면 심각하다.  2012년 19대 54.2%, 2016년 20대 58%밖에 안 된다. 2018년 지방선거 때도 60.2%.  이번 선거는 코로나19로 인해 투표율이 더 낮아질 수 있다.  나는 반대로 해외여행을 못 가니 투표율이 높아질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왜 투표장에 나가..

Date 2020.04.03  by 황정근

● 검찰총장을 검찰청장으로 바꾸려면 개헌을 해야 한다

● <검찰총장>을 <검찰청장>으로 바꾸려면 <개헌>을 해야 한다 열린민주당이 검찰총장을 검찰청장으로 명칭을 격하하겠다고 공약했다.헌법 제89조 제16호는 <검찰총장·합동참모의장·각군참모총장·국립대학교총장·대사의 임명>을 국무회의 심의사항으로 규정하고 있어, 그렇게 개칭하려면 검찰청법 개정으로는 불가능하고 <개헌>을 해야 한다.전에 육해..

Date 2020.04.02  by 황정근

● 선거운동기간 첫날에 묻는다

● 선거운동기간 첫날에 묻는다 ㅡ `지난 3년, 잘한 게 뭐냐`영어 election은 엘리트와 어원이 같아서, 선거는 원론적으로는 정치엘리트를 충원하는 절차다.그러나 선거는 본질적으로 심판이다.민주공화국에서 선거는 집권자(guardians)를 매의 눈으로 감시(guard)하는 제도이다. 지금까지 그와 그들이 한 일의 성과를 심판하고 평가하는 기회다. 지금까지 잘 해왔고 앞으로도 잘 할 것 ..

Date 2020.04.02  by 황정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