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부패범죄와 일반범죄의 분리 선고

● 부패범죄와 일반범죄의 분리 선고
- 공직선거법 제18조 제3조

 

2019년 8월 29일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상고심 판결(대법원 2019. 8. 29. 선고 2018도14303 전원합의체판결)에서 검사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면서 징역 25년을 선고한 원심판결을 파기하였다. 피고인은 상고하지 않았다.

...

공직선거법 제18조 제3항에 따르면 부패범죄(뇌물수수, 선거법·정치자금법·국민투표법위반)는 일반범죄(이 사건에서는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강요, 공무상비밀누설)와 따로 형을 선고해야 하는데, 제1심 및 항소심 모두 공직선거법 제18조 제3항의 경합범 가중 금지 조항을 간과하였던 것이다.
원심(과 제1심)이 중대한 법리오해의 실수를 한 것이 대법원 단계에서 발견된 것이다.
애당초 구형을 하나의 형으로 한 검사도 마찬가지 실수를 했을 터.
공직선거법 사건을 많이 다루어보지 않아서 생긴 실수이다.

공직선거법 제18조 제3항은 ‘제1항 제3호에 규정된 죄(=부패범죄)와 다른 죄(일반범죄)의 경합범에 대하여는 형법 제38조의 규정에 불구하고 이를 분리 심리하여 따로 선고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공직선거법 제18조 제1항 제3호에 규정된 이른바 부패범죄란, 선거범(공직선거법위반죄 및 국민투표법위반죄), 정치자금법 제45조(정치자금부정수수죄) 및 제49조(선거비용관련 위반행위에 관한 벌칙)에 규정된 죄를 범한 자 또는 대통령·국회의원·지방의회의원·지방자치단체의 장으로서 그 재임 중의 직무와 관련하여 형법(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에 의하여 가중처벌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제129조(수뢰, 사전수뢰) 내지 제132조(알선수뢰)·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3조(알선수재)에 규정된 죄를 말한다.

이는 선거범을 비롯한 부패범죄에 대한 재판의 신속을 꾀하고 부패범죄만으로 당선무효 여부나 선거권·피선거권의 제한 여부 등을 판단하게 하자는 데 그 취지가 있다. 일본 공직선거법에는 우리 법 제18조 제3항에 해당하는 규정이 없고, 단지 제252조 제4항에서 “법원은, 정상에 의하여, 형의 선고와 동시에 제1항에 규정한 자에 대하여 위 조항의 5년간 혹은 형의 집행유예 중의 기간에 관하여 선거권 및 피선거권이 없다는 규정의 적용을 배제하거나, 혹은 그 기간 중에 이를 적용하여야 할 기간을 단축한다는 취지를 선고할 수 있다.”고 규정함으로써, 법원의 재량으로 선거범과 비선거범이 경합됨으로써 발생하는 공직선거법상 제재의 불합리함을 완화하고 있다.

1997년 11월 14일 법률 제5412호로 개정되기 전의 구 선거법 제18조 제3항은 ‘선거범과 다른 죄의 경합범은 선거범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었는데, 그 당시의 법에서는 가벼운 선거범과 무거운 일반범죄가 경합된 경우에 경합범가중을 하면 대개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이 선고되어 당선무효가 되는 경우가 생기는 것과 같이 운용상 불합리함이 드러나자 위 개정법에 의하여 선거범과 다른 죄의 경합범에 대하여는 형법 제38조의 규정의 적용을 배제하고 이를 분리 심리하여 따로 선고하도록 개선하였다.
그 후 2004년 3월 12일 법률 제7189호로 개정된 선거법 제18조 제3항은 종전의 ‘선거범’을 ‘선거범, 정치자금법 제30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자 또는 대통령․국회의원․지방의회의원․지방자치단체의 장으로서 그 재임 중의 직무와 관련하여 형법(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2조에 의하여 가중처벌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제129조 내지 제132조․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3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자’로 개정하였다. 이는 제18조 제1항 제3호에서 선거권이 없는 자의 범위를 확대한 것에 따른 것이다. 다만 2004. 3. 12. 개정법은 그 시행 전에 선거범을 제외한 제18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부패범죄를 범한 자의 피선거권은 개정 전의 종전의 예에 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부칙 6조). 그리고 2005년 8월 4일 개정시 정치자금법 제49조를 추가하였다.

따라서 선거범을 비롯한 제18조 제1항 제3호에 규정된 부패범죄의 경우에는 다른 죄와 가급적 분리 기소하여야 하고, 같은 피고인에게 다른 관련사건이 있다고 하여 변론병합신청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법원도 검사가 분리 기소한 선거범 및 부패범죄사건을 피고인이 같다고 하여 기계적으로 병합결정을 하는 것은 지양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병합하더라도 어차피 후에 또 분리 심리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분리 기소되지 아니하고 하나의 사건으로 기소된 경우라도 법원은 경합범가중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경합범가중을 하고 하나의 형을 선고하면 상급심에서 직권파기사유가 된다.

그런데, 선거범을 비롯한 제18조 제1항 제3호에 규정된 부패범죄와 다른 죄의 경합범에 대하여 실무상 분리 심리할 필요성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부패범죄와 다른 죄의 형만 따로 선고하는 것이 관례이다. 물론 판결이유 중 법령의 적용 부분에서 부패범죄 부분과 다른 죄 부분을 나누어 설시하는 실무례도 있다. 변론의 분리 여부는 재판장의 소송지휘권 문제로서 사안에 따라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 형사소송법 제300조에 따라 언제든지 이를 할 수 있고 이로써 충분하다. 의무적으로 분리 심리하도록 한 선거법에 따르면 공판조서만 분리 작성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판결에서 부패범죄와 다른 죄의 형만 분리 선고하는 것으로 하여도 당선무효형의 식별 등의 입법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입법론으로는 공직선거법 제18조 제3항 중 “분리 심리하여” 부분은 삭제되어야 한다.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황정근

등록일2019-09-02

조회수2,027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선거구 획정안이 11월 13일까지 통과 안 되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독립기구인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는 법정 시한인 10월 13일까지 국회의장에게 선거구 획정안을 제출해야 한다.위헌 위법 사유가 있으면 국회 정개특위는 재적 2/3 의결로 1차례 비토할 수 있다.다시 10일 내에 획정위가 획정안을 보내오면 국회 본회의에 부의된다.그러면 11월 13일까지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해야 한다. 국회의원들은 ..

Date 2015.10.05  by 황정근

제20대 국회의원 총선 주요일정

2015. 10. 13. 선거구획정위원회, 선거구획정안 국회 송부.2015. 11. 13. 국회 선거구획정 시한.2015. 12. 15. 예비후보자등록 신청 시작.2015. 12. 31. 헌법재판소 선거구 위헌결정에 따른 입법 시한.2016. 1. 14. 공무원 등 사직 시한(비례대표 출마자는 2016 3/14).2016. 1. 14. 국회의원 의정활동보고 금지.2016. 2. 13.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 금지.2016. 3. 14. 재외선..

Date 2015.10.02  by 황정근

선거전략에 대한 과신

우수하고 잘 짜인 선거 전략만 있으면 이길 수 있다고 과신해서는 안 된다. 아무리 우수한 책사들이 수립한 선거 전략이라 해도 그것은 하나의 보조 수단일 뿐이다. 기본은 후보 자신의 삶과 생각이다. 이것이 역사의 운과 맞아떨어질 때 승리하는 것이다. - 이종찬, <숲은 고요하지 않다>, 2권, 355면. 

Date 2015.09.28  by 황정근

[선거법 판례해설] 공직선거법 제106조의 호별방문이 허용되는 `다수인이 왕래하는 공개된 ..

충북교육감 사건호별방문이 허용되는 ‘다수인이 왕래하는 공개된 장소’의 개념 - 대법원 2015. 9. 10. 선고 2014도17290 판결 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95553   충북교육감 선거 예비후보자로 등록한 피고인이 단양교육지원청 교육지원과 등 단양군 및 제천시 소재 학교 및 관공서 사무실 24곳을 방문하여 명함을 돌리고 지지를 호소함으로써 선거운동을 ..

Date 2015.09.11  by 황정근

[선거법 판례해설] 공직선거법 제250조 제1항에 정한 '경력'과 '행위'

[양주시장 선거법 사건]         대법원 2015. 8. 19. 선고 2015도7349 판결 당선 목적 허위사실공표죄(공직선거법 제250조 제1항)의 객체는 후보자등의 `출생지·신분·직업·경력·학력·학위·상벌·재산·인격·행위·소속단체`로 한정되어 있다. 현직 기초자치단체의 장이 재출마하면서 선거공보에 자신의 재임 중의 `업적`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에..

Date 2015.09.07  by 황정근

[선거법]공무원의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 - 정종섭 행자부장관 건배사

[법조문]공직선거법 제255조(부정선거운동죄) ⑤ 제85조 제1항을 위반한 자는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상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신설 2014.2.13.>제85조(공무원 등의 선거관여 등 금지) ① 공무원 등 법령에 따라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하는 자는 직무와 관련하여 또는 지위를 이용하여 선거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등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

Date 2015.08.28  by 황정근

[선거법 판례헤설] 대법원 2015. 8. 19. 선고 2015도5789 판결.

[대구 수성구청장 선거법 사건]대법원 2015. 8. 19. 선고 2015도5789 판결.   현직 구청장인 피고인은 예비후보자 등록신청 개시일 2개월 전에 구청의 자동동보시스템을 통해 소속 공무원 910명에게 자신이 저서를 출판했다는 사실을 알리면서 거기에 저자의 출판기념회 강의 동영상을 링크할 수 있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였다. 공직선거법 제255조 제2항 제5호, 제93조 제1항 위반(..

Date 2015.08.26  by 황정근

[칼럼] 공직선거 후보자의 기부액을 공개하자

올해 6월 4일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일이다. 7월 30일에는 국회의원 재·보궐선거가 있다. 지방선거를 치를 때마다 느끼는데 후보자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선택을 하는 데 애로가 많다. 정당추천제가 유지되면 그나마 공천을 한 정당을 믿고 투표하면 되지만, 만약 공천제가 일부라도 폐지된다면 어느 후보자에게 투표할지 여간 난감한 게 아니다. 대선이나 총선에서는 그래..

Date 2015.08.12  by 황정근

[칼럼] 선거와 엘리트의 어원이 같은 이유

선거(election)와 엘리트(elite)의 어원이 같다는 것은 재미있다. 선거는 정치엘리트를 뽑아서 먹고 살기 바쁜 국민을 대신해 나라 일을 잘 처리해달라고 위임하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대신한다’는 동사다. 국민을 대표하기 때문에 ‘뛰어난 사람’(elite)을 뽑아야 한다. 뛰어나다는 것은 결국 민심을 읽을 줄 알고 국가경영능력을 갖춘 것을 의미한다. 선거는 지도자(guardi..

Date 2015.08.12  by 황정근

[칼럼] 선거구 '지역대표성' 살리는 법

국회의원 선거구 인구 편차 2:1 기준을 제시한 헌법재판소 결정이 몰고 온 파장은 깊고도 넓다. 이 기준을 관철하면 어떤 구(區)는 3명을 뽑고 어떤 곳은 6개 군(郡)에서 1명을 뽑게 된다. 국회의원은 법리적으로는 국민의 대표이지만, 단원제 국가인 우리나라에서 현실적으로는 지역의 대표다. 2:1 기준은 지역 대표성을 현저히 약화시킨다. 재판관 3명 반대의견의 논거다. 아무..

Date 2015.08.12  by 황정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