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부패범죄와 일반범죄의 분리 선고

● 부패범죄와 일반범죄의 분리 선고
- 공직선거법 제18조 제3조

 

2019년 8월 29일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상고심 판결(대법원 2019. 8. 29. 선고 2018도14303 전원합의체판결)에서 검사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면서 징역 25년을 선고한 원심판결을 파기하였다. 피고인은 상고하지 않았다.

...

공직선거법 제18조 제3항에 따르면 부패범죄(뇌물수수, 선거법·정치자금법·국민투표법위반)는 일반범죄(이 사건에서는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강요, 공무상비밀누설)와 따로 형을 선고해야 하는데, 제1심 및 항소심 모두 공직선거법 제18조 제3항의 경합범 가중 금지 조항을 간과하였던 것이다.
원심(과 제1심)이 중대한 법리오해의 실수를 한 것이 대법원 단계에서 발견된 것이다.
애당초 구형을 하나의 형으로 한 검사도 마찬가지 실수를 했을 터.
공직선거법 사건을 많이 다루어보지 않아서 생긴 실수이다.

공직선거법 제18조 제3항은 ‘제1항 제3호에 규정된 죄(=부패범죄)와 다른 죄(일반범죄)의 경합범에 대하여는 형법 제38조의 규정에 불구하고 이를 분리 심리하여 따로 선고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공직선거법 제18조 제1항 제3호에 규정된 이른바 부패범죄란, 선거범(공직선거법위반죄 및 국민투표법위반죄), 정치자금법 제45조(정치자금부정수수죄) 및 제49조(선거비용관련 위반행위에 관한 벌칙)에 규정된 죄를 범한 자 또는 대통령·국회의원·지방의회의원·지방자치단체의 장으로서 그 재임 중의 직무와 관련하여 형법(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에 의하여 가중처벌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제129조(수뢰, 사전수뢰) 내지 제132조(알선수뢰)·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3조(알선수재)에 규정된 죄를 말한다.

이는 선거범을 비롯한 부패범죄에 대한 재판의 신속을 꾀하고 부패범죄만으로 당선무효 여부나 선거권·피선거권의 제한 여부 등을 판단하게 하자는 데 그 취지가 있다. 일본 공직선거법에는 우리 법 제18조 제3항에 해당하는 규정이 없고, 단지 제252조 제4항에서 “법원은, 정상에 의하여, 형의 선고와 동시에 제1항에 규정한 자에 대하여 위 조항의 5년간 혹은 형의 집행유예 중의 기간에 관하여 선거권 및 피선거권이 없다는 규정의 적용을 배제하거나, 혹은 그 기간 중에 이를 적용하여야 할 기간을 단축한다는 취지를 선고할 수 있다.”고 규정함으로써, 법원의 재량으로 선거범과 비선거범이 경합됨으로써 발생하는 공직선거법상 제재의 불합리함을 완화하고 있다.

1997년 11월 14일 법률 제5412호로 개정되기 전의 구 선거법 제18조 제3항은 ‘선거범과 다른 죄의 경합범은 선거범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었는데, 그 당시의 법에서는 가벼운 선거범과 무거운 일반범죄가 경합된 경우에 경합범가중을 하면 대개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이 선고되어 당선무효가 되는 경우가 생기는 것과 같이 운용상 불합리함이 드러나자 위 개정법에 의하여 선거범과 다른 죄의 경합범에 대하여는 형법 제38조의 규정의 적용을 배제하고 이를 분리 심리하여 따로 선고하도록 개선하였다.
그 후 2004년 3월 12일 법률 제7189호로 개정된 선거법 제18조 제3항은 종전의 ‘선거범’을 ‘선거범, 정치자금법 제30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자 또는 대통령․국회의원․지방의회의원․지방자치단체의 장으로서 그 재임 중의 직무와 관련하여 형법(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2조에 의하여 가중처벌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제129조 내지 제132조․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3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자’로 개정하였다. 이는 제18조 제1항 제3호에서 선거권이 없는 자의 범위를 확대한 것에 따른 것이다. 다만 2004. 3. 12. 개정법은 그 시행 전에 선거범을 제외한 제18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부패범죄를 범한 자의 피선거권은 개정 전의 종전의 예에 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부칙 6조). 그리고 2005년 8월 4일 개정시 정치자금법 제49조를 추가하였다.

따라서 선거범을 비롯한 제18조 제1항 제3호에 규정된 부패범죄의 경우에는 다른 죄와 가급적 분리 기소하여야 하고, 같은 피고인에게 다른 관련사건이 있다고 하여 변론병합신청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법원도 검사가 분리 기소한 선거범 및 부패범죄사건을 피고인이 같다고 하여 기계적으로 병합결정을 하는 것은 지양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병합하더라도 어차피 후에 또 분리 심리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분리 기소되지 아니하고 하나의 사건으로 기소된 경우라도 법원은 경합범가중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경합범가중을 하고 하나의 형을 선고하면 상급심에서 직권파기사유가 된다.

그런데, 선거범을 비롯한 제18조 제1항 제3호에 규정된 부패범죄와 다른 죄의 경합범에 대하여 실무상 분리 심리할 필요성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부패범죄와 다른 죄의 형만 따로 선고하는 것이 관례이다. 물론 판결이유 중 법령의 적용 부분에서 부패범죄 부분과 다른 죄 부분을 나누어 설시하는 실무례도 있다. 변론의 분리 여부는 재판장의 소송지휘권 문제로서 사안에 따라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 형사소송법 제300조에 따라 언제든지 이를 할 수 있고 이로써 충분하다. 의무적으로 분리 심리하도록 한 선거법에 따르면 공판조서만 분리 작성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판결에서 부패범죄와 다른 죄의 형만 분리 선고하는 것으로 하여도 당선무효형의 식별 등의 입법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입법론으로는 공직선거법 제18조 제3항 중 “분리 심리하여” 부분은 삭제되어야 한다.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황정근

등록일2019-09-02

조회수2,025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선거법] 권선택대전시장 선거법 사건 상고이유서(서론부분)

상고이유 개진에 앞서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정치인의 통상적인 사단법인 설립 및 그 활동이 공직선거법상 유사기관 설치 금지 위반으로 인한 부정선거운동죄 내지 사전선거운동죄로, 그 사단법인의 회비 수령이 정치자금법상 정치자금부정수수죄로 평가되어서는 안 됩니다.   공직선거법 제58조 제1항은 선거운동을 공직선거에서 당선되거나 되게 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Date 2016.08.27  by 황정근

[선거법] 기부행위제한위반죄의 '재산상 이익'

‘재산상 이익’과 ‘이익’의 구별   공직선거법 제112조 제1항 소정의 ‘재산상 이익’이란 같은 조항에 규정된 금전·물품에 준하는 것으로서, 사람의 욕망이나 수요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이익 중에서 사회일반의 상식과 관행 및 당사자 사이의 관계 등에 비추어 볼 때 사회적 의례의 범위를 넘어 사람의 재산적인 욕망이나 수요를 충족시키는 유형적 이익, 즉 기부행위 ..

Date 2016.07.20  by 황정근

[미국대법원 판결] 총인구 기준 선거구는 합헌이다.

친구공개 나만보기 편한친구공개 질문자관심글로 저장하기`유권자 수`(voter-population)가 아니라 `전체 인구 수`(total-population numbers)를 기준으로 선거구를 획정하는 것이 1인 1표 원칙에 위반되지 않는다는 미국 연방대법원 판결이 2016년 4월 4일에 선고되었습니다.우리나라도 유권자수가 아니라 인구를 기준으로 선거구를 획정합니다.참고로, 미국 하원의원 선거구 인구편차 허용범..

Date 2016.04.29  by 황정근

[칼럼] 좋은 후보, 나쁜 후보 - 정치인은 미래설계사 (문화일보 2016년 3월 31일자 기고문)

좋은 후보, 나쁜 후보변호사 황정근 이번 총선에서 누구를 선택할 것인가. 대답은 다양할 것이다. 선호하는 정당을 보고 이미 선택한 경우도 있고, 특정 지역에는 당내경선이 본선이나 진배없어 본선에서는 달리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경우도 있다. 어느 후보자가 마음에 들어 이미 마음을 정한 경우도 있고, 투표할 만한 후보자가 도무지 없어 투표장에 아예 가지 않겠다고 하..

Date 2016.03.31  by 황정근

제20대 총선 공천과 선거법

http://www.황정근.com/ab-lawyer_column_v-36

Date 2016.03.25  by 황정근

[정당법 판례해설] 정당원이 공무원이 되면서 탈당하지 않은 경우 처벌할 수 있는가

[판례해설]정당의 당원이 군인 신분 취득시점에 탈당하지 않은 경우, 정당법 및 국가공부원법 위반죄가 성립하는지 여부(소극)- 대법원 2016. 2. 18. 선고 2013도3346 판결 황정근 변호사   피고인 배모 대위는 2007년 민주노동당에 가입한 정당원이었는데 2008년 육군장교로 임관하면서 탈당을 하지 않았다. 검찰관은 피고인이 군인 신분 취득시점에 탈당하지 아니한 부작위가 군..

Date 2016.03.09  by 황정근

교육감은 정치인이 아니다 - 대법원판결

대법원 2016. 1. 14. 선고 2014도3112 판결[업무상횡령·업무상배임·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뇌물)·뇌물수수·정치자금법위반·뇌물공여][공2016상,309] 【판시사항】교육감, 교육감선거 후보자 또는 후보자가 되려고 하는 사람이 정치자금법 제3조 제1호에서 정한 ‘공직선거에 의하여 당선된 자, 공직선거의 후보자 또는 후보자가 되고자 하는 자 또는 ..

Date 2016.03.03  by 황정근

양당 체제를 옹호하기 위한 선거법의 규제, 철폐해야 - 박민

현재의 양당 구도가 정착된 데는 1958년 도입된 선거법이 일등공신 역할을 했다. 1934년 개정된 제국주의 일본의 보통선거법을 모방한 당시 선거법의 핵심은 선거운동기간과 선거운동원과 선거운동 방법을 제한하는 것이다. 1956년 5월 대선에서 216만 표를 얻은 조봉암 후보가 그해 11월 진보당을 결성하자 이승만 대통령과 야당은 제3세력의 등장에 불편함을 느끼고 신진세력의 정..

Date 2016.02.22  by 황정근

사전선거운동죄 외국 입법례

1. 개관영국, 미국, 독일, 캐나다, 벨기에, 핀란드, 덴마크, 스웨덴, 오스트리아 등 대부분의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선거운동기간에 대한 규제가 없고,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선거운동 방법에 대해서도 규제하지 않으며, 다만 총선거비용 통제를 통하여 선거공정성을 확보하고 있다. 선거운동기간에 대하여 제한을 두는 국가는 유럽에서는 예외적으로 프랑스가 있으며, 그밖에..

Date 2016.02.19  by 황정근

선거구 공백 사태를 우려한다

선거구 공백 사태를 우려한다                                                 변호사 황정근  지난 11월 13일은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가 선거구 획정안을 국회의장에게 보내야 하는 법적 시한이었으..

Date 2015.12.16  by 황정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