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심리불속행 판결의 ‘이유’ 기재 : 개선 방안

●심리불속행 판결의 ‘이유’ 기재 : 개선 방안

 

민사 판결문은 ‘주문’(主文)과 ‘이유’로 구성된다.
판결문의 이유에는 주문이 정당하다는 것을 인정할 수 있을 정도로 당사자의 주장, 그 밖의 공격·방어방법에 관한 판단을 표시해야 한다(민사소송법 제208조 제2항).
여기에 예외가 몇 개 있다. ...
대표적인 것이 소액사건 판결, 대법원의 심리불속행(심불) 상고기각 판결 등이다.

첫째, 소액사건의 판결문에는 판결이유를 기재하지 않을 수 있다(소액사건심판법 제11조의2 제3항).
소액사건에서는 법정에서 판사가 구두로 판결이유를 설명해야 하기 때문에 판결문에 판결이유를 굳이 적지 않아도 된다(동조 제2항).
재판실무에서도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대부분 이유를 기재하지 않는다.

둘째, 현재 약 77%에 달하는 대법원의 심불 기각 판결문에도 판결이유를 기재하지 않을 수 있다(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 제5조 제1항).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대법원은 친절하게도 거의 대부분 판결이유를 기재하고 있다.
아마도 소액사건처럼 판결이유를 설명할 기회가 없으니 판결이유를 기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그 판결이유 기재가 너무 간단해서 설득력이 부족하다.

“이 사건 기록과 원심판결 및 상고이유를 모두 살펴보았으나, 상고인의 상고이유에 관한 주장은 「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 제4조에 해당하여 이유 없음이 명백하므로, 위 법 제5조에 의하여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이렇게 부동문자로 된 판결이유를 적어주고 있는데, 이는 “이유 없으므로 이유 없다”는 것과 진배없다.
국가에 인지대를 납부하고 상고한 소송관계인이 궁금한 것은, 그런 결론이 아니라, 왜 내 사건 상고이유 주장이 심리불속행 사유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가 아닐까?

그러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첫째, 판결이유를 기재하지 않을 수 있다고 규정한 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 제5조 제1항을 삭제하는 방안.
둘째, 지금처럼 기재할 바에야 법률 규정에 충실하게 아예 판결이유를 기재하지 않는 방안.
셋째, 아니면 정말 친절을 배푼다면 ‘상고이유 주장이 왜 심리불속행 사유에 해당하는지’ 상고이유 주장 하나하나에 대해 설명을 해주는 방안.
첫째 방안이 당장 어렵다면, 설득력이 있는 “좋은 판결”이 되려면 셋째 방안이 대국민 사법서비스 차원에서 바람직하지 않을까?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황정근

등록일2018-05-11

조회수9,439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경찰국에 대한 오해

● `경찰국`에 대한 오해행정안전부에서 신설을 추진 중인 경찰지원조직은, 현재의 경찰청을 폐지하고 흡수하여 치안본부(치안국)로 회귀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현행법이 부여한 행안부 장관의 권한(특히 경찰 고위직 인사제청권 등. 아래 ※ 참조)을 보조하는 직제를 만든다는 것이다. 그 권한은 경찰법, 경찰공무원법 등에 규정되어 있다.정부조직법 제34조에서 행안부 장관의..

Date 2022.06.29  by 황정근

일본 구속 제도

● 이틀 만에 검찰 송치?- 일본 경찰은 체포한 후 48시간 내에 검찰에 송치해야 한다 아베 신조 전 총리 총격범 야마가미 데쓰야가가 현장에서 경찰에 체포된 날은 지난 8일인데, 일본 경찰은 이틀 만인 10일에 사건을 검찰에 송치하였다. 일본 경찰은 48시간 ‘피의자 체포권’만 있고, ‘피의자 구속권’이 없기 때문이다.일본의 체포·구속제..

Date 2022.07.11  by 황정근

'검수완밥'법 권한쟁의심판 최종변론문

2022헌라2최종변론문 청구인들 대리인 황정근   국민에 의해 선출된 국가기관인 국회의원이 그 헌법상 지위에 근거하여 고유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보유하는 중요한 헌법상 권한이 바로 법률안 심의·표결권입니다. 헌법상 적법절차 원칙과 다수결 원리의 핵심입니다.   이 사건에서 안건조정위원회의 심의·의결 절차를 보면 안건조정위원회의 안건조정 및 조정안 의..

Date 2022.07.13  by 황정근

'경찰국'의 법리 ㅡ직제 신설은 정부의 권한이다

● `경찰국`의 법리 ㅡ직제 신설은 정부의 권한이다2022년 세계 10위권의 선진국 대한민국 정부(대통령, 국무총리, 행정안전부, 경찰청)가 헌법과 법률을 위반하면서까지 행정안전부에 경찰국이라는 직제를 둘 리가 없다.대한민국정부가 그 정도 수준밖에 안 되겠는가?나는 절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행정안전부장관의 법률상 권한을 보좌할 보조기관이 부족하여 경찰국을 설..

Date 2022.07.28  by 황정근

국회의 국무위원 해임건의의 구속력

국회의 국무위원 해임건의의 구속력 -거대야당의 슬기로운 자제   국회는 국무위원의 해임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수 있다(헌법 제63조 제1항). 국회의 해임건의는 국회 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의 발의에 의하여 국회 재적의원 과반수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제2항).국회에서 국무위원 해임건의안이 의결되면 그 구속력이 있는가? 대통령이 당해 국무위원을 해임(면직)해야 하는..

Date 2022.09.29  by 황정근

상응조치論

● 상응조치論 ㅡ북핵에 대한 정책 메시지나는 오래 전부터 북핵에 대해서는 그것에 딱 맞는 <상응조치> (correspondent measure)가 무엇일까를 생각해보면 문제에 대한 해답이 나온다고 주장해왔다. 이제야말로 북핵 문제를 바탕에서부터 해결할 기회를 얻었음을 감사하게 생각하자.파이낸셜타임스 칼럼니스트 마틴 울프는 <비상시에는 비상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

Date 2022.10.12  by 황정근

NLL은 남과 북 사이에 유효한 해상경계선이다

● NLL은 남과 북 사이에 유효한 해상경계선이다일부 언론에서, NLL이 마치 유엔군이 일방적으로 설정한 경계선이고, 북한이 주장하는 이른바 해상군사분계선도 임의로 그은 것이니, 분쟁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식으로 보도하기에, 바로 잡고자 한다.결론부터 말하자면, 북측은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에서 NLL을 인정하는 것으로 합의했고, 그 합의서는 `쌍방합의`로 수정되..

Date 2022.10.25  by 황정근

증거인멸 염려

●증거인멸 염려영장실질심사 때, 경찰진술과는 배치되고 피의자 변소에 부합하는 참고인 A의 확인서를 받아 첨부하였더니, 영장판사는 ‘피의자 측이 영향력을 행사하여 A의 경찰진술을 번복시켰으니 증거인멸 염려가 있다’고 구속영장을 발부한다.다시 구속적부심 청구를 하였더니 심문 과정에서 ‘왜 경찰진술을 확인서로 번복시켰느냐’고 지적하면서 형사소송법 제214..

Date 2022.11.23  by 황정근

확성기 대응론

●확성기 대응론   김형철 한국군사문제연구원장(공군 예비역 중장)이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를 주장하였다.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이번 무인기 사건은 단순히 정전협정 위반이나 9·19군사협정 위반의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 영공 침범>의 문제다. 그래서 심각하다.  국군 46명이 전사한 2010년 3월 26일의 천안함 폭침이 북한 소행임이 밝..

Date 2022.12.29  by 황정근

선거구 확정

●선거구 확정 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이 조선일보 인터뷰에서 쓴 소리를 했다. 현직 대법관으로서는 하기 어려운 말을 가감 없이 했다. “총선 14개월 전인 올 1월 31일 인구 기준으로 국회의원 수를 조정해야 한다. 선거구 획정 자체는 총선 1년 전 4월 10일까지 돼야 한다. 그러나 선거구 획정 법정 시한을 정치권이 한 번도 지킨 적이 없다(현행법상 강제 조항이지만, 법정 시..

Date 2023.01.31  by 황정근

국가발전전략처

나경원 전 의원의 국민의힘 당대표 출마와 관련하여 최근 유명해진 곳이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다. 대통령이 위원장이고, 나 대표는 부위원장을 맡았었다. 보건복지부장관이 간사다. 근거 법률은 <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법>이다. 2005년부터 시행되었다. 지난 역사를 되짚어보면, 1983년에 <인구대체율>(=현상유지)인 ‘합계출산율 2.1명’이 되었으므로, 그 때 바로 ..

Date 2023.02.04  by 황정근

소추위원 출석 없이 탄핵심판을 진행하는 방안

헌법재판소법 제52조 제1항 및 제2항에 의하면, 탄핵 소추위원이 1차 변론기일에 불출석하면 다시 기일을 정하고, 2차 변론기일에도 소추위원 또는 그 대리인이 불출석하면 그 출석 없이 심리할 수 있다. 국무위원(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에 대해 국회본회의에서 탄핵 의결이 되면 바로 직무집행정지가 되는데, 그 정지기간을 최소화하고 기각 결정을 빨리 받는 방안이 있다. 소추..

Date 2023.02.08  by 황정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