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방송3법 개정안에서 이사회 구성의 헌법상 문제점

방송3개정안에서 이사회 구성의 헌법상 문제점

 

1. 주요 내용

   이 사건 법률안의 주요 내용은, 첫째 임명절차를 기존의 방송통신위원회 추천과 대통령 임명의 2단계에서, 법정 추천단체의 추천, 방송통신위원회의 임명제청, 대통령 임명의 3단계로 변경한 점이고, 둘째 이사의 추천에서 추천단체 및 인원을 법정하였다는 점이다.

   현행법은 각 분야의 대표성을 고려하도록 하고 있을 뿐이지만, 이 사건 법률안은 국회 교섭단체 5. 방송통신위원회가 선정한 방송 및 미디어 관련학회 6, 시청자위원회 4, 방송 관련 단체 6명으로 규정하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사람을 이사회에 참여시키는 방식은 공영방송의 공익성·공정성·대표성의 보장을 위한 내적 다원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인데, 구체적인 실현 방식에서는 현행 방송법과 같이 포괄적으로 제시하여 인사권자에게 재량을 부여하는 방식과 처음부터 참여하는 분야를 특정하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2. 쟁점

   이사회 구성에 관한 이 사건 법률안은 추천단체로 법정되지 못한 분야 또는 단체에 속한 사람들의 평등권을 침해하고, 공영방송의 이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직업선택의 자유를 침해하였으며, 법치주의원리의 주요 개념인 명확성의 원칙에도 어긋난다. 이 사건 법률안이 그대로 본회의에서 의결되고 법률로 공포된다면 위헌입법이 될 개연성이 매우 높다. 대통령이 재의요구권을 행사해야 할 이유다.


3. 평등의 원칙 위배

   공영방송의 다원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상 법률이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인사권자가 재량을 행사하는 방식과 법률에서 분야를 특정하는 방식 중 어느 것이 보다 적절한 것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다만 이사회에 참여하는 분야를 법률로 특정하는 경우에는 여기에 포함되지 못하여 배제되는 분야나 단체에 대한 차별이 있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차별이 합리적이지 않으면 평등의 원칙을 위배할 것이기 때문이다.

   특정 분야나 단체를 추천단체로 정하고, 추천인원을 할당하기까지 하기 위하여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법률에 의하여 공영방송 이사회에 원천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는 분야 또는 단체의 경우에는 평등권의 침해가 있다고 할 것이다.

   이 사건 법률안은 21명의 이사회 구성인원을 국회 교섭단체, 학회, 시청자위원회, 방송직능단체로 배분하고 있는데, 아무런 합리적인 기준을 찾기 어렵다. 단지 정치적 영향력을 배제하기 위함이라는 점을 제안이유에서 밝히고 있을 뿐이다.

   첫째, 다원성 확보의 가장 핵심적인 기준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 성별, 연령 등의 요소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46조 제3항 본문에서는 지역성을 고려하여 다음 각 호에 따라 추천된 사람을 임명제청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각 호는 전문성과 사회 대표성에 따른 것일 뿐 어떻게 지역성을 고려할지 여부는 전혀 알 수 없다고 할 것이므로 개정안 내의 정합성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위 법정단체 이외에도 공영방송의 다원성을 충족시킬 많은 분야 및 단체가 있다. 예컨대 경영회계와 법률은 대표적인 분야이지만, 여기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셋째, 2호 학회의 경우를 보면, 이 사건 법률안은 방송통신위원회가 선정한 방송 또는 미디어 관련 학회또는 지역방송 관련 학회를 추천단체로 규정하고 있다. 방송 또는 미디어 관련 학회가 무엇인지 방송통신위원회가 선정하도록 하고 있어 예측이 어렵지만, 일단은 방송과 미디어 관련 학회를 예정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방송학회나 미디어학회만이 이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관련성이 높다고 하기 어렵다. 방송이나 미디어 연구는 그 외에도 법학, 정치학, 경제학, 경영학 등 전통적인 사회과학은 물론이고 방송언어학, 방송엔지니어링, 디지털, 정보보호 등 여러 분야의 연구대상이다. 방송학이나 미디어학만이 공영방송을 연구한다는 전제는 전혀 근거가 없다.

   넷째, 4호 방송 관련 직능단체를 보면, 방송기자연합회, 한국피디연합회,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3개 단체만 포함되어 있으나, 방송연기자, 아나운서, 방송작가, 성우 등이 속한 다양한 직능단체는 왜 포함하지 않는지 이유를 알기도 어렵다.


4. 명확성 원칙 위배

   명확성 원칙은 법치주의의 한 표현으로서 법규범의 내용은 명확하여야 한다는 헌법상의 원칙이고 만일 법규범이 명확하지 않으면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헌법재판소 2014. 7. 24. 선고 2012헌바277 결정 등). 따라서 법문상의 용어가 명확하지 않다고 한다면 이는 법치주의원리에 위배되는 위헌적인 입법이다.

   이 사건 법률안은 방송 또는 미디어 관련 학회를 추천단체로 제시하고 있으나 사실 학회는 법적 개념이 아니다. 현행법상 학술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법인 또는 단체의 개념인 학술단체’(학술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법인 또는 단체. 학술진흥법 제2)라는 법적 개념은 존재하지만. 학회가 무엇인지 설명하는 법률은 없다. 학회는 회원의 자격을 어떻게 정할 것인지(예컨대 로스쿨이나 법과대학에는 헌법학회’, ‘민사법학회’, ‘형사법학회등 학생들이 참여하는 학술단체인 학회가 있는데, 법인격은 없지만 학교의 공식적인 지원을 받고 임원, 규약, 활동 등 교내외적으로 실체를 가진 단체로 인정받고 있어서 이를 학회가 아니라고도 할 수 없다), 규모, 재정 상태, 활동 정도, 법인격 유무 등 여러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학회의 개념과 범위가 이럴진대, 방송통신위원회가 방송 또는 미디어 관련 학회를 무슨 기준으로 선정할 수 있다고 할 것인지 명확성의 원칙을 충족하지 못하는 입법이라고 할 것이다. 만일 그대로 입법되어 시행된다면 방송통신위원회의 학회 선정부터 분란이 생길 것이 분명하여 불명확성으로 인한 법치주의가 훼손될 것이 분명하다.


5. 직업선택의 자유 침해

   공영방송의 이사회는 공영방송의 공익성·공정성 등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적인 거버넌스임에도,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이사로 참여하기 위하여는 이 사건 법률안이 정한 법정 추천단체로부터 추천을 받아야 한다. 위 법정단체는 해당 단체 소속의 사람을 이사로 추천할 것으로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데(만일 그렇지 않다면 공영방송의 다원성 보장의 취지에 어긋난다) 그 단체에 속하지 않는 사람의 공영방송 이사회 참여의 기회가 자신과는 무관한 사유 즉 법률이 분야를 한정함으로써 공영방송 이사라는 직업선택의 자유를 침해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직업선택의 자유 제한은 이른바 단계이론에 따라 직업행사의 제한보다 엄격한 제약을 받는다는 것이 헌법재판소의 판례의 입장이다(헌법재판소 1993. 5. 13. 선고 92헌마80 결정 등). 자신의 주관적인 사정과는 무관한 객관적인 사유에 의한 직업선택의 자유 제한은 엄격한 요건을 갖춘 예외적인 경우 즉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의 원리를 방어하기 위한 경우에만 극히 예외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허영, 한국헌법론 전정 15, 2019, 519면 참조). 이 사건 법률안이 규정한 추천단체에 속하지 않은 사람을 단지 법률의 규정만으로 이사회 추천의 기회마저 봉쇄하는 것은 직업선택의 자유의 과잉제한으로 위헌이라고 할 것이다.


6. 결론

   방송3법 개정안 중 이사회 추천에 있어서 특정한 분야와 단체로 한정함에 있어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을 발견할 수 없으므로 평등권 침해의 소지가 있으며, 개념이 불명확한 학회를 법정단체로 정함으로써 법치주의원리에 위배되고, 특정한 분야 및 단체로 한정함으로써 공영방송 이사회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직업선택의 자유를 과잉 침해한 위헌의 소지가 있다. (2024626일 황정근)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황정근

등록일2024-07-10

조회수3,602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판문점선언은 국회 비준동의 대상인가

판문점선언은 국회의 비준동의, 국무회의의 비준심의 및 대통령의 최종 비준이 요구되는 남북합의서인가?아니면 남북영수 간의 정치적 선언인 그냥 공동코뮤니케인가?국민에게 중대한 재정적 부담을 지우는 일반적인 남북합의서는,회담대표나 특별사절의 서명, 국회 비준동의, 국무회의 심의, 대통령의 비준, 공포 등의...순서로 진행되는데,이번 판문점선언은 이를 국무회의 ..

Date 2018.05.11  by 황정근

무능한 적장은 그대로 두는 것이 유리하다

●무능한 적장은 그대로 두는 것이 유리하다  미국 독립전쟁 때의 얘기다.헨리 리가 대륙군 조지 워싱턴 총사령관(미국 초대 대통령)에게 영국군 헨리 클린턴 사령관 납치 작전을 건의했다.당시 클린턴 장군은 뉴욕 브로드웨이 저택에 본부를 두고 매일 오후 정자에서 낮잠을 잤다....헨리 리의 작전계획은 허드슨 강의 썰물 때 병사 몇 명을 보내 클린턴을 생포하자는 아이디..

Date 2018.05.11  by 황정근

법률서비스산업 진흥원

●법률서비스산업 진흥원 미국 320조, 영국 50조, 독일 28조, 프랑스 22조에 비하면 그야말로 조족지혈입니다....우리나라의 유사법률직종인 법무사, 변리사, 세무사, 행정사, 공인노무사, 손해사정인, 공인중개사 등등의 시장규모를 감안하더라도, 우리나라 법률시장의 파이를 더 키워야 합니다.요즘 세대 변호사들은 영어를 잘 하므로 특히 해외시장에서 파이를 키워야 합니다..

Date 2018.05.11  by 황정근

서울지하철 타기

<서울지하철 타기>   2004년 변호사가 된 후 11년 동안 에쿠스 뒷자리에 타고 다니다가 2015년 두 번째 에쿠스를 처분하고 지하철 3호선의 도곡역-경복궁역을 오가며 출퇴근을 한 지 어언 3년이 되었다.지하철 계단을 오르내리며 걷는 것만으로도 하루 6-7천보 정도 되니 그나마 생활운동의 효과도 있다.세계최대의 여행정보 사이트 ‘트립어드바이저’는 2016년 전 세계 국..

Date 2018.05.08  by 황정근

'단계적 동시적 조치'에 대하여

<“단계적·동시적 조치”?>   김정은이 중국 가서 “단계적이고 동시적인 조치”를 조건으로 한 비핵화 방안을 밝혔습니다.김정은이 요구할 조치 리스트는, 불가침선언이나 4NO선언(북한붕괴, 정권교체, 흡수통일, 침공 안한다는 약속),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 제재완화, 경제지원, 체제보장, 평화협정, 북미수교, 미군철수 등등이 있겠군요.우리가 요구할 단계적 조치..

Date 2018.05.08  by 황정근

국정의 중심은 국무회의

<국정의 중심은 국무회의>1980년대 지지통신 서울특파원을 지낸 적이 있는 반한(反韓) 인사 무로타니 가츠미의 문고판 <THIS IS KOREA>(산케이신문출판)는, 세월호 참사의 사회문화적 배경 즉 원인(遠因)과 이를 기화로 분출한 한국의 사회갈등을 관찰하고 분석하면서 한국의 약점을 파고든 책이다. 그는, 한국에서는 대통령 수석비서관이 장관을 능가하는 실질적인 권한을 ..

Date 2018.05.08  by 황정근

3억원짜리 스포츠카가 업무용?

출근하여 신문을 읽다가 아직도 이런 일이 있나 해서 몇 자 적습니다.법인세법이 개정되어 2016년부터 법인소유 차의 연간 감가상각 한도는 800만원으로 제한되었고, 차량구입비와 유지비를 합해 1,000만원 이상을 비용 처리하려면 운행일지를 작성하도록 했습니다. ... 그런데도 고가 스포츠카의 법인 등록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작년에 아우디 고성능 스포츠카 R8 2억 4,90..

Date 2018.03.08  by 황정근

법률가가 바라본 ‘비핵화 조건’의 해석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방북특사단에게 말하기를, “북한에 대한 군사적 위협이 해소되고 북한의 체제 안전이 보장된다면 핵을 보유할 이유가 없다.” 법률가로서 나의 관심은, ‘북한에 대한 군사적 위협 해소’와 ‘북한의 체제 안전 보장’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법률용어 해석에 관한 대법원판례는 이렇다.“법령 자체에 그 법령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

Date 2018.03.08  by 황정근

지천명이란 무엇인가

<知天命>나이 50을 지천명이라 한다.왕재가 아닌 바에야 어찌 천명을 알 수 있겠는가?지천명이라는 것은 50이 되어 감히 천명을 알아차릴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는 자랑이 결코 아닐 것이다.50살 쯤 되어서는 이제 사회적으로는 나름의 사회적 책임을 느껴야 한다는 뜻이고, 한 인간으로서는 나 자신의 인간적 한계를 인정해야 한다는 뜻이리라.지천명의 나이에는 이제 인생..

Date 2017.11.22  by 황정근

1962년 쿠바 핵미사일 위기의 교훈

<1962년 쿠바 핵미사일 위기의 교훈> 당시의 상황을 간단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김연철, <협상의 전략>, 휴머니스트, 2016., 49-71면 참조)... ➀ 미국, 소련 코 앞 터키에 핵미사일 기지 건설➁ 소련, 미국 코 앞 쿠바에 핵미사일 기지 건설 : 상응조치 미국, 쿠바 핵미사일 방치도 선제공격도 아닌, 제3의 대안 ‘해상봉쇄’로 맛대응하며 비밀 협상.미국-소련, 소규모..

Date 2017.10.09  by 황정근

확장억제

<확장억제>영어 ‘extended deterrence’를 흔히 ‘확장억제’라고 번역하는데, 너무 직역이어서 감이 잘 안 잡힌다. 미국의 동맹국에게 핵공격을 위협하거나 핵능력을 과시하려 들 때 미국의 전쟁억지력을 동맹국에 확장하여 제공한다는 뜻이니, ‘전쟁억지력 확장’이 보다 정확하다.여기서 영어 deterrence(抑止)는 ‘겁먹게 하다’는 뜻의 라틴어 ‘terrere’에서 유래하였다고 ..

Date 2017.10.09  by 황정근

<영장 갈등에 대한 해법>

영장 기각을 둘러싼 검찰과 법원의 갈등...법조경력 32년차 심관이 보기에, 이것은 국민들에게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영장을 둘러싸고 법원과 검찰이 너무 사이가 좋으면, 그것이 국민들 입장에서는 오히려 문제가 아닐까.... 영장 갈등은 수사절차에서 피의자 구속의 목적에 대한 생각 차이 때문에 생길 수밖에 없다. 효율적인 대 범죄 투쟁을 강조하는 입장과 법치국가적 형사..

Date 2017.09.09  by 황정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