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검수완밥'법 권한쟁의심판 최종변론문

2022헌라2

최종변론문

청구인들 대리인 황정근

 

국민에 의해 선출된 국가기관인 국회의원이 그 헌법상 지위에 근거하여 고유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보유하는 중요한 헌법상 권한이 바로 법률안 심의·표결권입니다. 헌법상 적법절차 원칙과 다수결 원리의 핵심입니다.

 

이 사건에서 안건조정위원회의 심의·의결 절차를 보면 안건조정위원회의 안건조정 및 조정안 의결 방법에 그 심사·의결이 존재한다고 볼 수 없을 정도의 중대한 하자가 있습니다. 입법절차에서 안건조정 자체의 부존재에 해당할 정도의 중대한 하자가 있는 경우에는, 국회의원의 헌법상 권한인 법률안 심의·표결권을 침해한 정도가 너무나 중대합니다.

 

나아가 적법한 안건조정을 거친 것을 전제로 진행된 그 이후의 모든 입법절차 역시 그 하자가 중대합니다. 피청구인들의 각 가결·선포 행위는 모두 안건조정위원회의 절차상 중대·명백한 하자를 그대로 승계한 것이므로, 어느 것이나 모두 청구인들의 헌법상 권한인 법률안 심의·표결권을 심각하게 침해한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피청구인들의 각 가결·선포행위가 모두 무효인 것에서 더 나아가, 그렇게 탄생한 이 사건 각 법률은 당연히 그 효력이 없다고 보아야 합니다.

2022627일에 법무부장관과 검사 6인이 국회를 상대로 제기한 권한쟁의심판 청구 사건이 별도로 있지만, 피청구인들을 상대로 한 이 사건에서도 2022910일에 이 사건 법률이 시행되기 전에 각 법률의 효력이 없음도 아울러 확인하는 결정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권한쟁의심판에서 위헌결정에 재판관 과반수 찬성만으로 가능하냐는 문제가 있으나, 이번에 선례를 만들면 됩니다. 제 생각에는, 권한쟁의심판에서 인용결정을 함에는 과반수 찬성을 얻으면 되지만(헌법재판소법 제23조 제2항 본문), 그 인용결정의 내용이 법률의 위헌결정일 경우에는 그 부분에 대해서는 헌법 제113조 제1항이 우선 적용되므로 재판관 6인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헌법 제113조 제1항이 법률의 위헌결정이라고 규정하고 있을 뿐, 그 소송형태가 헌법소원심판인지 권한쟁의심판인지 위헌법률심판인지는 구별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사건 입법절차는 헌법 제49조의 다수결원리에도 반하기 때문에 청구인들의 법률안 심의·의결권을 침해한 것입니다. 영국의 정치학자 어니스트 바커(Ernest Barker)<현대정치론>에서 다수결의 원칙은 양()과 질(), 두 가지 측면이 있다고 하면서 다수파의 의사는 그것이 다수의 의사이면서도 공정(公正)한 의사일 때에만 모든 사람의 승인을 받을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민주정치는 다수결이 원칙이지만 그 다수가 이치에 맞는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것이 아니라면 민주적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다수결원리는 사실 단순한 수의 지배가 아니라 자유로운 토의를 통한 이성의 지배라는 데 그 본질이 있습니다.

 

만약 다수파가 비합리적인 방법으로 모든 문제를 결정해버린다면 이것이야말로 존 스튜어트 밀이 <자유론>에서 말한 다수의 독재’(tyranny of the majority)입니다. 다수당이 표결의 승패는 이미 결정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합리적인 토의과정을 요식행위처럼 무시해버린다면 그것은 바로 다수의 횡포이자 다수의 폭력입니다.

 

합리적이고 공정한 토의과정없이 어떤 법률안이 다수파에 의하여 일방적으로 통과되는 경우를 정치학자들은 법적으로는 유효, 그러나 정치적으로는 무효라고 표현합니다. 말하자면 수술은 성공했으나 환자는 죽어버렸다라고 표현합니다. 그러나 이 사건 입법절차에서는 수술도 실패했고 환자도 죽어버렸습니다. 이른바 검수완박입법은 정치적으로도 법적으로도 모두 무효입니다. 그러한 정치적 무효 상태를 헌법적으로도 확인해주는 역할은 헌법재판소에 맡겨져 있습니다.

 

입법권은 국가의 의사결정체제에서 헌법상 맨 앞 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국회 스스로의 자율 교정이나 정치적 해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거기에 고장이 나 있다면 이를 고칠 수 있는 곳은 헌법재판소밖에 없습니다. 국가기능 중 입법에 대해서도 당연히 견제와 균형의 원리가 작동되어야 하고, 그 역할은 결국 헌법질서의 수호·유지 차원에서 헌법재판소가 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에야말로 국회 의사절차의 기준과 한계에 대해 분명한 헌법적 가이드라인을 설정해주지 않으면 향후 또 이러한 말도 안 되는 입법이 강행되고야 말 것입니다. 앞으로 입법이라는 중요한 정치과정이 국회의원의 법률안 심의·의결권을 제대로 보장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특히 국회에서 소수정파를 보호하기 위하여 마련된 안건조정위원회 제도가 제대로 작동될 수 있도록, 이 사건 입법절차상 하자를 면밀히 살피셔서 바로잡아주실 것을 앙망합니다.

 

나아가 안건조정위원회에서부터 본회의 의결까지 청구인들의 헌법상 권한인 법률안 심의·표결권이 깡그리 무시된 이 사건 입법절차 전체가 법률을 무효로 할 만한 하자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선언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7월 12일)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황정근

등록일2022-07-13

조회수7,888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국회의원 300명 넘어도 되는가

헌법 제41조 제2항은 ‘국회의원의 수는 법률로 정하되, 200인 이상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공직선거법 제21조 제1항은 ‘국회의 의원정수는 지역구국회의원과 비례대표국회의원을 합하여 300명으로 한다.’라고, 공직선거법 제25조 제3항은 ‘국회의원지역구의 명칭과 그 구역은 별표 1과 같이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고, [별표 1]에 의하면 지역구 253석이다.헌법이 ‘200명 ..

Date 2019.05.15  by 황정근

●‘공수처’와 정부조직 구성원리와의 관계

●‘공수처’와 정부조직 구성원리와의 관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를 신설하려면 몇 가지 정부조직 구성원리와의 정합성(整合性)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대통령을 정점으로 한 행정부 안에 공수처를 두려면 정부조직법 개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정부조직법 제2조 제1항은 ‘중앙행정기관의 설치와 직무범위는 법률로 정한다.’고 규정하고, 그 제2항은 ‘..

Date 2019.05.24  by 황정근

금지규정과 처벌규정을 가까이에

● 금지규정 따로, 처벌규정 따로   범죄는 형사범과 행정범으로 대별된다.행정범은 대개 금지·제한규정을 먼저 규정한 다음 나중에 처벌규정을 따로 둔다. 예컨대 이렇다. 공직선거법 제106조는 금지 규정이다.○공직선거법 제106조(호별방문의 제한) ① 누구든지 선거운동을 위하여 또는 선거기간 중 입당의 권유를 위하여 호별로 방문할 수 없다.그런데 이 금지규정 위반..

Date 2019.06.06  by 황정근

●왜 ‘재정경제부’가 아니라 ‘기획재정부’인가

●왜 ‘재정경제부’가 아니라 ‘기획재정부’인가   오늘 동아일보 최종찬 전 건설교통부장관의 칼럼, <저출산 컨트롤타워, 기재부가 맡아라>를 보고 나는 무릎을 쳤다.http://news.donga.com/3/all/20190611/95927370/1   나는 무릎을 탁 치게 만드는 그 무엇이 들어 있는 칼럼을 좋아한다.어떻게 나와 똑같은 생각을 이렇게 정리를 잘 했지 하는 생각 말이다.그렇다.저출산 문..

Date 2019.06.11  by 황정근

● 국정처리상황의 평가·분석

‘국정처리상황의 평가·분석’대한민국헌법 제89조 제12호에 나오는 표현이다.국무회의 심의사항이다.대통령 임기 절반이 지나는 올 연말에는 대통령 주재로 ‘국정처리상황 평가보고회’를 개최하시라.※ '정부업무평가기본법' 제27조(평가결과의 보고) ① 국무총리는 매년 각종 평가결과보고서를 종합하여 이를 국무회의에 보고하거나 평가보고회를 개최하여야 한다.

Date 2019.11.01  by 황정근

● "계도기간"

● `계도기간`근로기준법에 따라 내년부터 주52시간제가 50-299인 사업장에서 무조건 시행되고, 위반하면 사업주를 형사처벌까지 한다.그런데 그 시행은 하되 계도기간을 두어 그동안은 처벌을 유예한다고 하는데,형사처벌은 사법당국의 몫일진대 고용노동부에서 계도기간을 설정하면 형사처벌이 유예되는 근거는 무엇인가?...이것이 법치국가에서 가능한 것인가?누가 형사고발..

Date 2019.11.19  by 황정근

● 1997년 ‘금융개혁법안’의 무산

● 1997년 ‘금융개혁법안’의 무산1997년 김영삼정부의 ‘금융개혁법안’에 대해 야당(새정치국민회의)는 ‘표결 불참’을 선택했다.다수당 여당(신한국당)이 혼자 통과시켜보라는 것이었다. 신한국당은 단독처리를 포기했다.“왜 우리만 혼자 욕을 먹느냐?”전운이 감도는 공수처설치법과 선거법을 앞에 두고,이제 "대타협(Great Compromise)" 방안을 찾으시라

Date 2019.11.25  by 황정근

● '약난방칸ㆍ무난방칸'을 설치하시라

● '약난방칸ㆍ무난방칸'을 설치하시라 추운 겨울, 외투를 입고 완전무장한 채 지하철을 타면 난방이 너무 잘 돼 덥다.인산인해 상황에서 외투를 벗을 수도 없는 노릇이니, 차제에 약난방칸 또는 무난방칸을 설치하시라....약냉방칸은 서울지하철의 자랑 아니던가.또하나의 히트상품,약난방칸!무난방칸!

Date 2019.11.26  by 황정근

대법원 재판의 전문화 방안

● 대법원의 민사부와 형사부 최다은 판사는 법률신문 칼럼 <형사재판의 매력>에서, ``형사보다는 민사 법리가 좀 더 어렵고 정교하다`고 표현했다.왜 형사보다 민사 법리가 정교해졌을까?그동안 대법원이 민사 사건은 정교하게 판단하고 판례를 많이 남기면서, 형사 사건에서는 형법과 형사소송법 법리 발전에 비교적 소홀히 해오지 않았는가?대법원이 형사 사건에서 유무..

Date 2019.12.02  by 황정근

● 15억원 초과 아파트 구입용 주담대 금지의 법적 근거?

● 15억원 초과 아파트 구입용 주담대 금지의 법적 근거?ㅡ 행정지도2019년 12월 17일부터 가계‧개인사업자‧법인 등 모든 차주(借主)에 대하여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의 초고가 아파트(시가 15억원 초과)를 담보로 한 주택구입용 주택담보대출이 전면 금지되었다.... 나는 법률가로서 늘 궁금하다.그런 조치의 법적 근거는 무엇인가?하도 궁금해서 찾아보니 금융위원회가 전 금..

Date 2019.12.19  by 황정근

● 검사 인사권은 누구에게 있는가

● 검사 인사권은 누구에게 있는가  검사의 임명과 보직은 법무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한다. 이 경우 법무부장관은 검찰총장의 의견을 들어 검사의 보직을 제청한다.ㅡ검찰청법 제34조 제1항.... 법무장관이 검찰총장의 의견을 들으라는 것은 서로 협의하라는 것이다.상하관계이기 때문에 협의라고 표현하지 않고 의견을 들으라고 규정한 것이다.대통령과 장관과 총장..

Date 2020.01.06  by 황정근

● 독립기관 '공수처'와 공화주의와의 관계

● 독립기관 `공수처`와 공화주의와의 관계  개헌 없이 `독립기관` 공수처를 두는 것은 헌법 및 정부조직 구성원리에 비추어 불가능하다....공수처가 수행하는 수사와 기소·공소유지 등은 헌법상 전형적으로 행정부(제4장 제2절)의 권한에 속하기 때문에, 그것을 행정부(=대통령-국무총리-국무위원으로 구성된 국무회의)에서 분리하여 독립시키는 것은 애당초 불가능한 것..

Date 2020.01.06  by 황정근